[의상]미술의상
- 최초 등록일
- 2000.09.17
- 최종 저작일
- 2000.09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명칭
2. 개념
3. 미술의상의 발생배경
4. 분류
5. 기능
6. 실용의상과 미술의상의 차이
7. 미술의상 운동의 사적 고찰
8. 한국에서의 미술의상 운동
본문내용
명칭
:Wearable, Wearable Art, Art to wear, Body Art, Body Work.
미술의상, 예술의상, 의상예술, 조형의상.
2. 개념
:미술의상이란 입는 옷의 기능을 갖추되 보는 옷으로서의 조형적인 측면에 중점을 둔 창작의상을 말한다.
미술의상의 출현은 섬유예술에 있어서 새로운 형식으로서의 모색과 의상 분야에서 일어난 미적 조형적 표현의 추구가 만나 새로운 표현 양식이 출현된 것으로서 인체를 예술의 매개체로 하여, 인체가 옷에 생명력과 형태를 부여하는 전달체임을 인식하는 바탕에서 새롭고 획기적인 방법에 의해 작가의 개성을 표현하려는 움직임으로 부터이다.
내부의 무형의 idea가 외부의 인체라는 대상을 통해 유형화 된 것으로써 착용자는 작가의 영간을 받아들임으로써 또 다른 새로운 삶을 공유하게 되고 두인격- 착용자와 작가의 만남은 작품을 통하여 특별한 조화와 개념을 재창조 한다.
꠆ꠏ초기: 공예적 접근 방법-색채, 질감을 중심으로 하는 회화적 평면적 접근 방법으로 시
ꠐ 도. <공예가, 섬유예술가, 의상디자이너등.
ꠌꠏ이후: 조각적, 환경적 접근 방법-적극적, 소극적 공간의 상호관련성.
외부구조와 내부공간과의 관계.
표면의 구조적 실루엣과 내부인체와의 공간적 대화 도.
:Shaped Canvas 혹은 Soft Sculpture로 인식하는 개념의 발달이 있었고, 최극에는 인체의 운동까지 포함하여 색채리듬이나, 움직이는 전위적 입체표현으로 그 개념이 확대되었다.
특성
미술의상은 대량생산에 의한 복제성을 배제하고 하나하나의 수공예적인 일품적 작품이며 패 션의 유행성에 전혀 구애받지 않고 작가 고유의 이념과 기법으로 작업하는 것이다.
또한 입었을때 움직이는 3차원적인 입체물이 되면서 벽에 걸었을때 미술감상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