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혼상제
- 최초 등록일
- 2000.09.08
- 최종 저작일
- 2000.09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우리나라의 관혼상제에 대해 자세하게 20페이지에 걸쳐서 설명되어 있습니다.인생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이야기
목차
[ 관례의 의의 ]
[ 관례의 절차 ]
[ 계례의 의의 ]
[ 계례의 절차 ]
본문내용
[ 관례의 의의 ]
관례는 아이가 성장하여 성인이 되었다는 것을 남들에게 알리는 의식이다. 15세부터 20세까지의 총각에게 성인이 된 것을 상징하게 위해서 갓을 씌우는 의식이었다. 관례를 치르면 비로소 성인이 됨과 동시에 사회의 일원으로 참여할 수 있고, 결혼도 관례를 마친후에 할 수 있었다. 이것은 성인이 됨은 물론 권리도 부여되며 그에 상응하는 책임도 지게 됨을 깨우치게 하려는 것이 그 근본적인 취지이다. 즉 성인으로서 권리와 의무를 동시에 가지게 되는 관계는 일가 친척과 동네 어른을 모시고 조상의 신위를 모셔놓은 사당에 고하는 것부터 행해진다.
관례의 절차가 번거로운 것도 오히려 까다로운 의식절차를 치르게 함으로써 당사자와 모든 이들에게 성인이 된 책임과 의무와 권리를 깨우쳐 주려는 취지였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관례의식은 고려말 <주자가례>의 유입으로 우리나라에 보급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