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의이론과 역사
- 최초 등록일
- 2000.09.04
- 최종 저작일
- 2000.09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색을 감각적인 것 이상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색의 물리적 특성과 우리 눈의 생리적 지각 작용에 대해서 알 필요가 있다. 색에 대한 학자들의 접근은 어떠하였는지, 그 속성을 어떻게 정의하였는지 알아가면서 우리는 색에 대한 더욱 폭넓은 이해를 갖게 될 것이다
목차
서론
1. 빛과 색의 관계
2. 색의 지각
3. 색체계
4. 색의 역사
본문내용
서론
색을 감각적인 것 이상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색의 물리적 특성과 우리 눈의 생리적 지각 작용에 대해서 알 필요가 있다. 색에 대한 학자들의 접근은 어떠하였는지, 그 속성을 어떻게 정의하였는지 알아가면서 우리는 색에 대한 더욱 폭넓은 이해를 갖게 될 것이다.
1. 빛과 색의 관계
1> 빛(Lihgt)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 속에서 빛은 여러 가지 형태로 우리의 시각을 자극한다. 대기권에서는 산란 현상에 의해 우리에게 파란 하늘을 보여주기도 하며 나뭇잎에 닿아서는 반사 흡수되어 녹색의 대지를 보여주기도 한다. 이처럼 빛이 만물에 비칠 때 굴절, 산란, 흡수, 반사 작용을 거쳐 우리 눈에 각기 다른 양상의 밝기와 색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물리학적인 의미에서 빛은 일종의 전자파이다. 우리가 빛이라 하는 것은 그 전자파 중에서 우리 눈으로 지각되는 범위를 가리키는 것으로 대략 380nm(nanometer)~780nm의 파장을 띈 전자파를 말한다. 이 이상은 적외선, 이하로는 자외선, 더욱 벗어나면 전파가 있으나 우리 눈으로는 인지 할 수 없다. 그래서 그 사이의 빛을 우리는 가시광선(visible light)이라 부른다.
2> 빛의 색
백색광으로 보이는 빛 속에는 여러 가지 색광이 포함되어 있다. 빛은 파장에 따라 굴절하는 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흔히 프리즘에 의해서 그 스펙트럼(spectrum)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빛은 다시 프리즘을 통과시켜도 더 이상 분광되지 않는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