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터 바이러스에 관한...
- 최초 등록일
- 2000.08.30
- 최종 저작일
- 1997.0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컴퓨터 바이러스의 정의
컴퓨터 바이러스 감염 증상
지금까지 발견된 바이러스
바이러스 피해 사례
바이러스 예방법
본문내용
컴퓨터 바이러스의 정의
`컴퓨터 바이러스`라는 단어가 각종 언론 매체를 통해 널리 알려지면서 여러 가지 잘못된 개념들을 갖고 있는 사용자가 의외로 많습니다.
컴퓨터 바이러스는 컴퓨터를 이용하는 사람이나 컴퓨터 자체에 감염되는 생물학적인 의미의 바이러스가 아니라,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일종으로 다른 프로그램들과는 달리 사용자 몰래 자기 자신을 다른 곳에 복사하는 명령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이러스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생물학적인 바이러스가 자기 자신을 복제하는 유전인자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컴퓨터 바이러스도 자기 자신을 복사하는 명령어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컴퓨터 바이러스라는 말보다는 바이러스 프로그램(Virus Program)이라는 말이 더 정확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이를 생물학적인 바이러스와 혼동하여 컴퓨터 바이러스에 감염된 디스켓을 깨끗한 물로 씻거나 감염된 컴퓨터에는 가까이 가지 않는 등 웃지 못할 일이 종종 있었습니다.
컴퓨터 바이러스는 자기 복사 능력 이외에도 실제의 바이러스와 비슷하게 부작용(Side Effect)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감기 바이러스가 인체 내에서 증식만 하는 것이 아니라 감기를 일으키듯이, 컴퓨터 바이러스도 자기 자신을 복사하는 명령어의 조합만을 가지고 있지 않고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 귀중한 자료를 지워버리는 등의 일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컴퓨터 바이러스가 경계의 대상이 되는 이유는 사용자 몰래 자기 자신을 복사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이러한 부작용 때문입니다. 그러나 모든 컴퓨터 바이러스가 이러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며, 자기 복사 능력만 가지고 있는 것도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컴퓨터 바이러스의 정의는 `사용자 몰래 다른 프로그램에 자기 자신을 복사하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으며, 더 정확하게는 `컴퓨터의 프로그램이나 실행 가능한 부분을 변형하여, 여기에 자기 자신 또는 자기 자신의 변형을 복사하는 명령어들의 조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실행 가능한 부분의 예로는 오버레이(Overlay), 장치 구동기(Device Driver), 부트 레코드(Boot Record),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자기 자신의 변형`이란 용어를 사용한 이유는 컴퓨터 바이러스에 따라서 자기 자신을 그대로 다른 곳에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일부 변형시켜서 다른 곳에 복사하는 것도 있기 때문입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