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백제문화에 대한 고찰
- 최초 등록일
- 2000.07.13
- 최종 저작일
- 2000.07
- 1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목차
없음
본문내용
고구려, 백제 신라는 서로 비슷하면서도 다른 연원을 두고 성립하여, 한반도를 중심으로 쟁패를 거듭하면서 독자적인 역사와 문화를 만들어 나갔다. 그 중 백제는 부여를 중심으로 모진데 없는 넉넉한 산하 만큼이나 풍요롭고 독창적인 문화를 만들어 나갔다. 그리고 일찍부터 선진 대륙문화의 영향을 받아 한문학이 발달하였고, 근초고왕(13대) 때에는 박사 고흥으로 하여금 백제의 역사를 편찬케 하여 이를 서기라 하였다. 또한 백제는 중국 남조의 동진. 송. 양. 진과 외교 관계를 맺어 자주 내왕하고 그 문화를 많이 받아들였다. 백제의 미술과 공예. 건축 분야의 발전상을 엿볼 수 있는 것은 대부분이 오랜 시간의 흐름속에 그 자취를 감추거나 매몰되어 찾기 힘들지만 당시의 흔적을 쫓아가면 단편적으로 나마 조상들의 삶의 조각을 모을 수 있다. 그것은 각 시대별 도성 주변에 다수 산재 된 고분이나 석조유구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이러한 발견은 뜻하지 않는 경우에 우리에게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무녕왕릉의 경우 공사 중 우연히 발견되어 흔적 없이 사라질 뻔하였던 경우를 모면하기도 하였다. 고대인들의 모습은 유물들의 지속적인 발굴과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다. 문화와 역사는 그 나라의 흥망성쇠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거대한 제국이었을지라도 그 나라의 기운이 다하여 사라지게 된다면 그 나라의 운명과 함께 문화도 사라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람이나 나라는 사라져도 그 당시에 있던 유물들은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어 당시의 시대상황을 그대로 전달해 준다. 그러한 흔적들은 시대의 커다란 차이에도 불구 하고 우리로 하여금 그 시절 살았던 백제인들의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