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사회는 말기에 안으로는 개혁을 원하는 무리가 늘어가고 밖으로는 급변해 가는 정세를 살펴야 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때에 미국의 개신교 선교사들이 선교 활동을 시작하였다.
조선 사회에서 미국과 개신교 선교사들에 대한 인상은 좋았다. 황준헌의 조선책략에서는 미국과 개신교 기독교에 대하여 호의적인 내용이 들어 있고 이것은 양반 엘리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또 알렌 선교사는 서양 의술과 성실성으로 미국인에 대한 감정을 크게 호조 시켜 많은 영향을 주었다.
개신교 기독교에서는 직접 전도보다 의료 사업과 교육 분야에 더욱 힘을 쏟았다. 개신교 선교사들이 서양 의술을 보급하고 근대 교육을 실시하여 사람들에게 호의적인 반응을 얻어내는 동안 프랑스에서 파견된 천주교는 포교 활동에 힘을 쏟았다. 미국의 개신교 쪽에서는 신중하고 호혜적인 접근 방식으로 신뢰를 쌓는데 주력을 두었으나 천주교는 조선 정부와 다투며 직접 군대를 파견하여 마찰을 빚기까지 하였다. 따라서 미국에 대한 인상은 국민들에게까지 호의적이었고 천주교에 대하여는 반감을 갖게 되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