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의미
- 최초 등록일
- 1999.10.13
- 최종 저작일
- 1999.10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서 론
본 론
1.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기초한
스티븐 호킹 박사의 시간의 역사』에서
시간 개념에 관한 분석
- 물리학적 관점의 시간
2. 생체시계에서 나타난 시간의 개념적 정리
- 생물학적 관점의 시간
결 론
본문내용
우주내의 도처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건들을 일의적으로 시간매김(date)시킬수 있는 단일한 만유포괄적 시간개념은 그것이 붕괴됨으로써 결국 원인과 결과, 진화, 그리고 그 외 다른 여러 가지 사안들에 관한 우리의 견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컨데 우주에 거시적 개념의 진보가 존재하는 지를 묻는 질문 따위는 시료가 되는 일정량의 시간에 대한 우리의 선택에 좌우될 것이다. 시간이 잘 맞는 여러 대의 시계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면, 그에 의거한 우리의 판단은 전하태평인 미국인이 생각하는 것 만큼이나 빠른 속도로 우주가 진보하고 있다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시간이 잘 맞는 다른 시계를 선택한다면, 가장 우울스런 슬라브인이나 상상할 수 있을 만큼 빠른 속도로 우주가 악화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우주의 진보성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한 대답이 낙롼론이든 혹은 비관론이든 그것은 옳은 것도 아니지만 그른것도 아니다; 다만 시계의 선택에 좌우되는 것일 따름읻.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