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원룡, 1961, [십이대영자의 청동단검기 - 한국청동기문화의 기원과 문제], [역사학보]16
· 이강승, 1979, [요령지방청동기문화 - 청동유물로 본 요령동검문화와 하가점 상층문화의 지역연구], [한국고고학보] 6
· 근풍의, 1982, [중국동북지구함곡인청동단검적문화유재(상)], [고고학보] 82-4, 과학출판사.
· 이건무, 1992, [한국의 요령식동검문화], [특별전, 한국의 청동기문화],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 이영무, 1991, [한반도 출토 비파형동검 형식분류 시론], [박물관기요]7, 단국대박물관
· 이청규, 1993, [청동기를 통해 본 고조선], [국사관논총]42, 국사편찬위원회
· 박순발, 1993, [우리나라 초기철기문화의 전개과정에 대한 약간의 고찰], [고고미술사론]3, 충북대학교고고미술사학과
· 이종선, 1990, [세형동검문화의 지역적특성], [한국상고사학보]3, 한국상고사학회
· 이건무, 1994, [한국식동검문화의 성격 - 성립배경에 대하여], [94 제3회 문화재연구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동아시아의 청동기문화], 문화재연구소
· 조진선, 1997, [한국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의 관계에 대한 일고찰],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강원, 2004, [중국 동북지역 세 청동단검문화의 문화지형과 교섭관계]
· 오강원, 2004, [요령지역의 청동기문화와 지역군간 교섭관계]
· 박진욱, 1987, [비파형단검문화에 관한 연구]
· 이청규, 1999, [동북아지역의 다뉴경과 그 부장묘에 대하여], [한국고고학보 40]
· 심봉근, 2005 [한국 청동검 계보와 그 동반유물], [한국문물의 이해] 동아대학교 출판부 p257
· 심봉근, 2005 [한국 청동검 계보와 그 동반유물], [한국문물의 이해] 동아대학교 출판부 p247, 248
· 조진선. 2004. [세형동검문화의 전개과정 연구]. 전북대학교대학원
· 박순발. 1993. [우리나라 초기철기문화의 전개과정에 대한 약간의 고찰] [고고미술사론] 3.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 오강원, 2002, [요동남부지역 쌍방형이중구연심발형토기에 관한 연구] [박물관지] 제2, 3합호, 관동대학교박물관 pp.18.19
· 東嶺崗博物館 編 1995. [朝陽歷史與文物], 遼寧大學出版社, pp72,73.;오강원, 2006a
· 서길덕, 2006, [원형점토띠토기의 변천과정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 이청규, 1999, [동북아지역의 다뉴경과 그 부장묘에 대하여], [한국고고학보 40]. 한국고고학회 p77,78
· 조진선, 2004, [세형동검문화의 전개과정 연구], 전북대학교대학원 p 145
· 이건무, 1994, [한국식 동검문화의 성격 - 성립배경에 대하여] [‘94 제3회 문화재연구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동아시아의 청동기문화], 문화재연구소.
· 박순발, 1993, [우리나라 초기철기문화의 전개과정에 대한 약간의 고찰] [고고미술사론] 3,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