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강헌, 『음악의 파장, 공명의 파장』, 대화출판사, 1995.
· 2). 김광수, 『스타를 만드는 사람들』, 문예마당, 1997.
· 3). 김식현, 『인사관리론』, 무역경영사, 1993.
· 4).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1998.
· 5). 이동연, 『새로운 유토피아를 꿈꾸며』, 겨레, 1995.
· 6). 이동연, 『서태지는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문화과학사, 1999.
· 7). 이우용, 『우리 대중음악 읽기』, 창공사, 1996.
· 8). 이희승, 『엣센스 국어 사전』, 민중서림, 1993.
· 9). 정수영,『신경영학원론』,박영사, 1991.
· 10). 김재엽, “배우 매니지먼트의 현황와 육성 방안에 대한 연구”, 단국대 경영대학원 석사, 1998.
· 11). 김호석, “문화산업의 스타시스템에 관한 연구”, 서강대 신방과 박사, 1998.
· 12). 박명진, “영화산업의 욕망관리체제: 스타제도”, 『문화과학』, 봄호, 문화과학사, 1993.
· 13). 오세인, “대중문화 매니지먼트 산업에 관한 연구”, 중앙대 신문학과 석사, 1995.
· 14). 임진모, “매니저의 원조 가요계 PR에서 기획으로”, 「주간한국」, 1995년 1월 5일.
· 15). 장용호, “탤런트 노동시장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30호 가을, 1993.
· 16). 정혜경, “한국 대중문화 영역의 스타시스템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 신방과 석사, 1996.
· 17). 진현승, “대중매체 산업의 스타시스템에 관한 연구”, 서강대 신방과 석사논문, 1992.
· 18). 객석, 1989년 10월호.
· 19). 동아일보, 1999년11월1일자.
· 20). 스포츠 조선, 2000년 6월 16일자.
· 21). 시사저널 1995년 2월 2일자.
· 22). 월간 주니어, 1999년 1월호.
· 23). 일간 스포츠, 1999년 11월12일자.
· 24). 조선일보 1999년 5월 29일자.
· 25). 한경비지니스, 1996년5월21일자.
· 26). Baskervill, D., 김주호 옮김, 『뮤직비즈니스 핸드북』시유시, 1998.
· 27). Chandler, A.D.,『Strategy and structure : Chapters in the History of the Industrial Enterprise』, The MIT Press, 1962.
· 28). Janetti, L., Understanding Movies, 김진해 역, 『영화의 이해』, 현암사, 1989.
· 29). Lavin, J., Wackman, D., Managing Media Organization : Effective Leadership of Media 『매스미디어 경영론』, 김재범, 한균태 공역, 나남, 1995.
· 30). Massie, J. L.,『Essentials of Management』, Englewood Cliffs, N. J. : Prentice-Hall, Inc., 1979,
· 31). Morin. E., The star, 이상률 역, 『스타』, 문예출판사, 1992.
· 32). Susan, H., Key concept in cinema studies, 이영기 역, 『영화사전』, 한나래, 1997.
· 33). Unwin, S., ꡒA Synchronistic Theory of Advertisingꡓ, 『Journal of Marketing』, October, 1972.
· 34). Wimmer, R.D., Dominick, J.R., Mass Media Research, 유재천, 김동규 공역, 『매스미디어 조사방법론』, 나남출판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