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초 화장품 패키지의 PCR 용기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The Benefits of Applying PCR Containers for Basic Cosmetic Package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3.05
23P 미리보기
기초 화장품 패키지의 PCR 용기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6권 / 2호 / 171 ~ 193페이지
    · 저자명 : 곽혜정, 김응화

    초록

    연구배경 탄소중립 시대와 함께 폐플라스틱(PCR) 재활용 시장의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지만 폐플라스틱에 대한 인식 부족과 품질 및 안정성에 대한 의구심으로 화장품 업계 내 활용도가 매우 낮은 편이다. 이에 순수 PP와PCR PP의 화장품 용기 사출 실험을 통해 색상, 표면 현상, 인쇄성을 비교하여 PCR 사출 시 나타나는 현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첫째, 관련 서적과 정책 보고서 및 신문 기사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둘째, 용기 사출 실험을 통해 디자인 현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실험 결과물을 바탕으로 일반인, 전문가 집단으로 나누어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는 교차분석(Chi-squared test)과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PCR 사출 실험 결과를 색상, 표면 현상, 인쇄성으로 항목을 나누어 순수 PP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결과 색상의 경우 PCR PP가 순수 PP보다 저채도의 색상으로 나타났으며 PCR PP 표면에 간헐적으로 흑점이 발생하였다. 인쇄성의 경우 두 소재 간의 차이는 없었다. 실험 결과물을 바탕으로 ‘자연 유래 성분의 화장품 용기개발’에 대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응답자 대부분이 PCR 용기를 선호하였으며 흑점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구매의사의 경우 흑점 미발견 집단의 구매 의사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자연 유래 성분의 기초 화장품 개발 시 순수 PP보다 PCR PP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PCR PP 사출 시 나타나는 은은한 저채도의 색감이 친환경적 이미지로 소구할 수 있다는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의의는 두 소재에 대해 동일한 조건으로 실제 프로세스에 따라 실험을 통해 디자인현상을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향후 색조 화장품 용기와 이에 따른 다양한 플라스틱 소재별 PCR 활용에 관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The carbon-neutral era has led to a high potential evaluation of the post-consumer recycled plastic (PCR) market. However,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about waste plastics and skepticism about their quality and stability, the utilization of PCR plastics in the cosmetics industry is relatively low. In response,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color, surface phenomena, and printability of pure polypropylene (PP) and PCR PP in cosmetic containers through injection molding experiments.
    Methods First,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policy repots, and newspaper articles. Second, design phenomen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a container injection experiment.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n offline survey was conducted by dividing respondents into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 group,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chi- squared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The results of the PCR injection experiment were divided into color, surface state, and printability and compared and analyzed with pure PP. As a result, in the case of color, PCR PP showed a lower chroma than pure PP, and black spots intermittently appeared on the PCR PP surface. In the case of printabilit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materials.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development of cosmetics containers of natural ingredient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most survey respondents preferred PCR containers and found no dark spots. In the case of purchase intention, the group that did not find dark spots, showed high purchase intention.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In this study, PCR PP was preferred over pure PP in the development of natural ingredient-based basic cosmetics. The subtle low-chroma coloration that appears during PCR PP injection molding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conclusion that can convey an eco-friendly image.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the fact that the design phenomena were analyzed through experiments conduc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for both materials, following actual processes. There i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use of PCR plastics in color cosmetics containers and the various plastic materials related to PCR pla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