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다에서 찾은 공예 문화 : 조선시대 상어 가죽 공예품 (Craft Culture from the Sea: Sharkskin Artifacts of the Joseon Dynast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5.06
23P 미리보기
바다에서 찾은 공예 문화 : 조선시대 상어 가죽 공예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48호 / 7 ~ 29페이지
    · 저자명 : 신숙

    초록

    상어의 가죽은 다른 동물에서는 찾기 어려운 독특한 질감과 무늬, 강한 내구성을 지니고있어, 고대부터 지금까지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상어에 관한 직접적인 문헌 기록이 고려시대부터 나타나지만 대부분 조선시대에 집중된다. 문헌을 통해, 상어 가죽을 뜻하는 다양한이름과 종류, 공예품 제작과 용도, 산출지와 교역, 대체 재료 논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상어 가죽은 단순하게 어피로만 기술해도 의미가 전달될 만큼 대명사가 되었으며, 어피는 상어와 가오리를 포함하는 연골어류의 가죽을 통칭한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현재 혼용하고 있는 사어피와 교어피를 구분하였으며, 가장 상품으로 쓰는 종류는 백어피와 대랑피였다. 일부 종류는 국내에서는 얻기 어려운 산물이었고 주로 일본에서 수입하였다.
    상어의 가죽은 보록, 예물함, 서류함, 의류함, 망건통, 안경집, 화살통, 칼집 등 가까이두고 손으로 만지면서 사용하는 공예품이나 가구로 완성되었고 이를 제작하는 도구로도 요긴했다. 손에 닿는 질감이 좋고 오랜 시간 흘러도 내구성이 유지되며, 표면의 원형 돌기는그대로 문양이 되고 붉은색이나 녹색, 황색 등으로 염색하면 장식 효과도 배가되는 특징을가진다.
    근래 주요 유물에 대한 가죽 재질의 과학적인 분석이 시도되고 있는 점도 주목하였다.
    문헌 기록과의 비교를 통해 신분에 따른 재료의 선택과 명칭의 분류에 관한 단서를 얻었으며, 상어 가죽을 대체하는 재료나 기법에 대해서도 문헌의 내용과 유물을 연계하여 실례를찾으려고 노력하였다. 이는 초보적인 단계이지만 앞으로의 연구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전통 사회에서 상어를 무엇으로 부르고 어종을 다르게 인식했는지,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된 상어의 명칭과 관념의 유래, 그리고 제작 과정을 담당했던 장인의 역할과 범위 등에 대하여 향후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Sharkskin, with its distinctive texture, unique patterns, and exceptional durability rarely found in other animal hides, has been valued and widely used since ancient times. Joseon-era documents offer information on the terminology and classification of sharkskin, the methods and purposes of crafting with it, its production and trades centers, and its alternative materials.
    Sharkskin had become so emblematic that it was often described simply as “fish skin(魚皮, eopi)”, a term that seems to have been used generically to refer to the skins of cartilaginous f ish, such as sharks and rays. Moreover, during the Joseon period, a clear distinction was made between saeopi(sharkskin) and gyoeopi(ray skin), which are now often conflated. Certain types, being difficult to procure in Korea, were primarily imported from Japan.
    Sharkskin was used to craft a range of items, including seal boxes, gift boxes, clothing cases, eyeglass cases, and sword sheaths, as well as furniture such as two-tiered cabinets. It also served as a useful tool used for crafting them. Valued for its pleasant tactile quality and lasting durability, sharkskin features natural patterns formed by rounded protrusions, which become even more pronounced when dyed in colors such as red, green, or yellow.
    Recent efforts to scientifically analyze the leather materials of key artifacts have also drawn attention. Comparative examinations with historical records have offered clues regarding material selection and terminology classification based on social status. Although still in its early stages, this line of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new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