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인 소장 근・현대 어린이 복식품에관한 소고(小考) (A Study on Child Costume Relics of a Private Collector in Modern Er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9.12
24P 미리보기
개인 소장 근・현대 어린이 복식품에관한 소고(小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수록지 정보 : 한국복식 / 42호 / 49 ~ 72페이지
    · 저자명 : 지수현

    초록

    본 연구는 전통 자수품을 수집해 온 민연화(1954∼)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자수복식품들 가운데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어린이 복식품 일부를 소개하고자 고안되었다. 수집해 온 250여점의 복식품들가운데 어린이 복식품은 약 20여점에 이르고 있으며, 이 중에서 고찰 대상이 되었던 소장품은 전복2점, 저고리 3점, 마고자 1점, 풍차바지 6점, 굴레 3점으로 총 15점이다. 연구의 목적은 개인 소장가가 애호적 입장에서 수집한 전세 유물들에 대한 학술적 가치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전세 유물의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고 유물의 사료적 가치를 검토해 볼 수 있기 위한 기초 자료를제공하는 것이다. 목적 달성을 위해 어린이 복식에 대한 연구 논고, 전시 도록을 포함한 출간 서적및 사진 자료들 가운데 시대가 명시된 동일 품목들과의 조형적 비교를 소재, 구성, 바느질 방법 등에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소장자의 유물은 1920년대에서 늦게는 1970년대 말 즈음에 이르는 시기의 유물들로 보인다. 어린이 전복[No.1] [No.2]의 경우 1900년대 초반으로 추정되는 이화여대박물관 소장품인 연두색 전복의 양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작된 것을 볼 수 있다. 자수돌띠 색동저고리[No.3]과 색동감으로 섶을 한 2점의 저고리[No.4∼5]는 1920년대 이후 보이는 양식이다. 색동마고자[No.6]은 20세기 영왕의 아들 구의 돌 생신 의대 중 남송색동부금동배자라고 하는 왕실 양식과 유사하나 바느질은 매우 거칠었다. 풍차바지 6점[No.7∼11]은 모두 동일한 치수로 돌장이를 위해 한 곳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1970년대 말 경 등장한 깨끼 바느질에 적합한 소재로 유통되던 ‘깔깔이’라는 소재를 안감으로 한 초록풍차바지 [No.11]을 제외하고 안감은 모두 목면 계통이다.
    굴레 3점은 자수문양, 정수리 장식 등이 1920년대 전후의 유물에서 보이는 유물들의 양식들과 유사하였다.[No.13∼15]개인 수집가의 소장품에 대한 편년을 추정하는 기준을 실물 자료가 아닌 박물관 도록이나 연구 논문에 게시된 사진에 의거한 만큼 후속 고찰을 통한 면밀한 검증이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식사 연구의 한 영역을 점유하고 있는 어린이 복식 연구에 실물 자료로써 의미 있는 개인 소장품을 소개한 것에 의의를 갖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some of the children’s costumes that haveyet to be reported to scholars, of all the embroidered costumes owned by MinYeon-hwa(1954-), a lover and private collector of embroidery. About 20 of the 250 orso costume items are for children, and the study has examined total 15 items composedof 2 pieces of koeja (‘long vest’), 3 pieces of jeogori (‘vest-shaped armhole jacket’), 1piece of magoja (‘bolero’), 6 pieces of pungchabaji (‘baby pants’), and 3 pieces of gule(‘baby cap’).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the academic value of theartifices handed down through generations that are collected by a private collector, andspecifically, to date the artifices handed down through generation and elucidate theirrepresentational characteristics.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study aims to identifythe detailed information and represent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rtifices and get arough date for them by comparing them with the identical costumes which show inpublished books and photos including the research papers and exhibition catalogs onchildren’s costumes. Then, the study has come up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 Thecollector’s artifices appear to date back to the period between the 1920s and the late1970s. The children’s koeja [No.1][No.2] was made in the method that is similar to themethod for making the yellow-green jeonbok (‘long vest’), which is kept at EwhaWomans University Museum and is believed to have been made in the early part of thefirst decade of the twentieth century. Jasu doltti saekdong jeogori (‘vest-shaped armholejacket with multicolored sleeves that includes a embroidered first anniversary sash’)[No.
    3] and 2 pieces of jeogori (armhole jacket’) which includes a gusset made with amulticolored fabric [No. 4-5] are of a style that appeared in the 1940s or later.
    saekdong magoja (‘bolero with multicolored sleeves’) [No. 6] is similar to the royal style called Namsongsaekdongbugeumdongbaeja, as part of the clothing worn by Gu, a sonof the 20th-century king, on his first birthday, but the sewing involved is quite gross.
    Pungcha baji (‘baby pants’) were made like women’s underpants, not sapokbaji, thatincludes a waist without a vest waist. Except for the green pungcha baji [No.11] thatuses as its liner kkalkkali, which was supplied as a material suitable for kkaekki(‘gossamer clothes with linings’) sewing, all the liners were cotton fabrics. 3 pieces ofgule (‘baby cap’) carry decorations that resemble those for embroidered decorations ortop of head decorations that show in those artifices dated to the 1920s. As the itemsowned by a private collector have been dated according to the photos included inmuseum catalogs or research papers instead of actual artifices, a more meticulousverification through follow-up examinations should be necessary. Nonetheless, this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troduces private collections which are meaningful asactual materials for the study of children’s costumes, which takes up an area in thestudy of the costume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복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