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갈매리유적 출토 목제품의 이용 양상 (The study of the utilization patterns of wooden in the Galmae_ri site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0.05
21P 미리보기
갈매리유적 출토 목제품의 이용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68권 / 68호 / 45 ~ 65페이지
    · 저자명 : 김서정

    초록

    본고는 아산 갈매리유적 목제품의 이용 양상에 관한 연구이다. 유적에서는 목재 밀집지의 존재와 함께 다량의 목제품이 확인되었으며 당시의 문화적 성격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라 생각된다. 이를 위해 우선, 목제품에서 확인되는 가공 흔적을 관찰하여 이용되었던 도구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되었던 도구는 도끼, 자귀,끌, 송곳, 톱, 손도자 이며, 가공 도구의 기능을 고려할 때 유적에서는 벌채부터 완성단계까지 일련의 제작 과정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제작 기술의 수준은 그리 높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되며, 가공 과정을 통해 완성된 목제품이 실제 이용되었는지의 여부는 불분명하므로 이를 전제로 사용 흔적을 관찰하였다.
    분류 기준은 마모면, 잔 흔, 마찰된 면으로 구분되며, 이를 목제품의 용도 분류에 적용하여 기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경작을 위한 농기구의 비율은 낮으며 실생활에 사용된 목제품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대형 목재를 분할하는 공구로서 쐐기가 사용되었으며 목기 생산을 알 수 있는 요소는 간취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유적 내에서 확인된 목제품들이 실생활에 사용되었던 도구들이며, 더 나아가 원목재가 교역 대상품으로 취급 되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자 한다. 한 유적 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자료 검토에 한계가 있지만, 목제품의 출토 사례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관찰 기준을 제시한 것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wooden relics of Galmaeri Site were used. In the site where woods were concentrated, a number of wooden relics were excavated, which are believed to tell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ocessing traces in these wooden articles to assume tools used. As a result, axes, adzes, chisels, drills, saws, and bevels were found to be used.
    Given functions of these tools, a series of manufacturing processes from lumbering to completion were conducted at this site, but manufacturing technique itself appeared not that sophisticated.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all of the wooden articles are not likely to have been in use actually, we looked into traces of their uses. Criteria such as abrasion surface, fine traces, and reused surface were considered to classify uses of these wooden relics to examine their function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a small number of the articles were used for farming, and wedges were used to split larger woods.
    Also, these wooden articles were mostly used for everyday living, and we found no factors that show the production of wooden containers. It is probable that wooden articles of the relics were associated with daily lives, and large hardwoods were a trading item. Although the study has a limitation to review materials, by focusing on a single site, it has significance of suggesting a set of criteria for observation, as excavation of wooden relics is grow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