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장품 플라스틱 용기 사용에 관한 소비자의 인식과 화장품 기업의 환경 융합적 마케팅 전략 방안 (Consumer Percept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ng Solutions for Microplastics in the Cosmetics Industry)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9.12
11P 미리보기
화장품 플라스틱 용기 사용에 관한 소비자의 인식과 화장품 기업의 환경 융합적 마케팅 전략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37권 / 5호 / 135 ~ 145페이지
    · 저자명 : 박현정, 남미우

    초록

    본 연구는 최근 플라스틱의 위험성에 관한 높은 사 회적 관심을 배경으로, 화장품 산업과 환경을 융합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화장품 플라스틱 용기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알아 보고, 둘째, 일회용 견본품 제공과 기능성에 대한 소 비자의 인식을 파악한다. 셋째, 화장품 기업의 리사이 클 캠페인과 이를 실행하는 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인 식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서울, 경기에 거주하는 20-40대 여성 12 명을 목적적 표본 추출하여, 2018년 2월 1일부터 7일 까지 총 7일에 걸쳐 자유 응답형 설문지 응답과 심층 면접을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응답자들은 화장품 용기를 마케팅 요소로 인 식하는 집단과 인식하지 않는 집단으로 나타났다. 화 장품 용기를 마케팅 요소를 인식하는 집단은 용기에 대하여 긍정적 응답을 보인 반면, 인식하지 않는 집단 은 부정적 응답을 보였다. 둘째, 일회용 견본품을 자 주 사용하는 사람은 3명에 불과했지만, 응답자들은 샘 플을 제공받는 것에 익숙하여 샘플을 제공하지 않는 것에 매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셋째, 20대 응답 자들은 모두 정확하게 리사이클 캠페인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40대의 경우 1명을 제외하고 캠페인의 존재 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화장품 플라스틱 용기 사용에 관한 소비 자의 인식과 규명한 것뿐만 아니라, 화장품 기업의 환 경 융합적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 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the marketing strategy of cosmetics company is proposed by integrating the environment and the cosmetics industry based on the high social interest on the risks of pla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onsumers on the cosmetics plastic containers, to identify consumer perceptions on the disposable sample offerings and functionality, and identifying the recycling campaigns of the cosmetics companies and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companies implementing them. The survey was conducted free interview questionnaires and in - depth interviews with 12 respondents aged 20-40 year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for 7 days from February 1 to 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pondents appeared as a group that recognized cosmetics containers as marketing factors and as a group that did not recognize them as marketing factors. The group that perceived the marketing element of the cosmetic container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container, while the group that did not recognize showed the negative response. Second, although only three people used disposable samples frequently, respondents were very accustomed to receiving samples and were very negative about not providing samples. The sample marketing of cosmetics brands showed no practical effect for consumers. Respondents replied that if they do not provide samples, they will continue to buy familiar older products without having to buy new products at risk, including problems. Therefore, consumers expressed that their interest in and curiosity about new products will be reduced, which will affect the company's sales decrease. Third, Respondents in their twenties correctly recognized recycling campaigns, but in their 40s, they did not even recognize the existence of campaigns except one. Women in their 20's and 30's recognized the used cosmetic containers as garbage, and that it was cumbersome to collect and carry out, also recognized that the compensation was too small compared to the hassle. On the other hand, Only one person in their 40’s knew it was a recycling campaign. Campaign promotion was not effective at some ages. In this study, not only consumer’s perception of cosmetic plastic container use, but also environment-friendly marketing plan of cosmetic compani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in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y of compa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