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직장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이 화장품 쇼핑성향 및 화장품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n Cosmetics Shopping Trends & the Purchase Satisfaction Degrees)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7.12
13P 미리보기
직장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이 화장품 쇼핑성향 및 화장품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3권 / 4호 / 629 ~ 641페이지
    · 저자명 : 이순희, 김은실, 주영주

    초록

    이 연구에서는 직장여성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외모관리행동을 분석하고 그 요인에 따른 화장품 쇼핑성향 및 화장품 구매만족도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직장여성의 화장품 소비성향을 이해하여 합리적인 소비를 돕고, 직장여성을 목표 고객으로 하는 화장품 관련업계의 상품 기획에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 방법은 설문지 응답방식을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10∼50대의 성인 직장여성을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지는 2017년 4월 1일부터 4 월 30일까지 배포된 201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 20.0을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일반적 특성은 20대가81명, 30대가 67명으로 나타났고, 결혼여부는 미혼, 최종학력은 전문대학/졸업, 직업은 사무직, 월 소득은200만원 이상, 평균 화장품 구입횟수는 2∼3개월에 1 회, 화장품 구입 시 평균 구입가격은 10만원 이상∼15 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요인분석 결과 직장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은 의복관리행동, 뷰티관리행동, 신체보정관리행동, 몸매관리행동으로 분류되었고, 화장품 쇼핑성향은 쾌락추구, 유행추구, 경제추구로 분류되었으며, 화장품 구매만족도는 제품만족도, 가격만족도로 분류되었다. 셋째, 외모관리행동이 화장품 쇼핑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쾌락추구’ 는 ‘신체보정관리행동’, ‘의복관리행동’, ‘뷰티관리행동’ 이 증가할수록 ‘쾌락추구’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보였고, ‘유행추구’는 ‘몸매관리행동’, ‘뷰티관리행동’, ‘의복관리행동’이 증가할수록 ‘유행추구’도 증가하는정(+)의 관계를 보였으며, ‘경제추구’는 ‘몸매관리행동’, ‘의복관리행동’, ‘뷰티관리행동’이 증가할수록 ‘경제추구’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넷째, 외모관리행동이 화장품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결과 ‘제품만족도’는 ‘몸매관리행동’, ‘뷰티관리행동’, ‘의복관리행동’이 증가할수록 ‘제품만족도’도 증가하는정(+)의 관계를 보였고, ‘가격만족도’는 ‘몸매관리행동’, ‘신체보정관리행동’, ‘의복관리행동’이 증가할수록 ‘가격만족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다섯째화장품 쇼핑성향이 화장품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제품만족도’는 ‘경제추구’와 ‘유행추구’가 증가할수록 ‘제품만족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가격만족도’는 ‘쾌락추구’, ‘유행추구’, ‘경제추구’가 증가할수록 ‘가격만족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직장여성들의 외모관리행동이화장품 쇼핑성향 및 화장품 구매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외적 표현에 따라 화장품 구매 욕구에 관여하는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화장품의 기능, 유행, 가격등에 대한 만족도 파악을 설명할 수 있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한 마케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직장여성들은 사회적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이미지를 위해 자신의 외모관리를 노력하는 것과 유행경향 및 합리적인 가격을 고려하여 화장품 구매를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에 발생되는 직장여성들의화장품에 대한 필요 욕구와 만족감 추구를 충족시킬수 있는 기능적이고 실용성 있는 제품을 기획하고 다양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지속적인 마케팅전략 수립한다면 화장품 시장 활성화 향상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 analyze career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cosmetics shopping trends & the purchase satisfaction degrees due to certain factors. In addition to this, I want to provide empirical data needed for product planning of cosmetics related industry having career women as targeting customers.
    The research method is a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subjects are career women in 10s to 50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ource of final analysis data is 201 questionnaires from April 1 to April 30 in 2017. The analysis method is SPSS 20.0, and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and regression analysis are implemented.
    In summary of this study result, first of all, 81 persons in 20s and 67 persons in 30s are indicated as the general feature, and the average purchase price is 100,000 ~ 150,000 won, the frequency is once in 2~3 months, the subjects are single, office workers, educational backgrounds over Associate of Arts, and monthly incomes over two million won as the highest.
    Secondly, as the analysis result of factors, career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re classified as clothing, beauty, body correction, and body line management behaviors; the shopping trends are classified as pursuing pleasure, vogue, and economy; the purchase satisfaction degrees are classified as product and price satisfactions. Thirdly, as the analysis result of the effec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n cosmetics shopping trends, ‘pursuing pleasure’ is increased as ‘body correction’, ‘clothing management’, and ‘beauty management’ behaviors are increased; ‘pursuing vogue’ is increased as ‘body line management’, ‘beauty management’, and ‘clothing management’ behaviors are increased; ‘pursuing economy’ is increased as ‘body line management’, ‘clothing management’, and ‘beauty management’ behaviors are increased. Fourthly, as the analysis result of the effec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n cosmetics purchase satisfaction degrees, ‘product satisfaction degree’ is increased as ‘body line management’, ‘beauty management’, and ‘clothing management’ behaviors are increased; ‘price satisfaction degree’ is increased as ‘body line management’, ‘body line management’, and ‘clothing management’ behaviors are increased. Fifthly, as the analysis result of the effect cosmetics shopping trends on cosmetics purchase satisfaction degrees, ‘product satisfaction degree’ is increased as ‘pursuing economy’ and ‘pursuing vogue’ are increased; ‘price satisfaction degree’ is increased as ‘pursuing pleasure’, ‘pursuing vogue’, and ‘pursuing economy’ are increased.
    From the above study result, as career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fluence cosmetics shopping trends and cosmetics purchase satisfaction degrees, appearance expressions act important variables related to cosmetics purchase needs and confirmed as explainable variables to understand satisfaction degrees regarding function, vogue, and price of cosmetics.
    Therefore, the marketing implication b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s career women try to manage appearances for positive images to improve social competences and they purchase cosmetics as considering the vogue trend and affordable price, if functional and practical products are planned to satisfy their needs and satisfactions and continuous marketing strategies are established as providing information about various products, market vitalization progress of cosmetics might be more eff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