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온라인 유통 화장품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달을 위한 백화점 화장품 매장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Department Store Cosmetics Shop Design for the Delivery of Brand Identity of Online Distribution Cosmetic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1.08
14P 미리보기
온라인 유통 화장품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달을 위한 백화점 화장품 매장 디자인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5호 / 367 ~ 380페이지
    · 저자명 : 이주형, 임선희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브랜드에 있어서 판매 매장의 공간디자인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최전선으로서 과거에 비해 중요도가 매우 높아졌다. 브랜드가 우후죽순 범람하는 상황에 차별화된 브랜드의 이미지와 속성까지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것은 브랜드의 생명과도 연결된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화장품 브랜드는 이미지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산업으로서 매장의 공간디자인과 VMD는 타 유통분야보다 민감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채널에서 판매 중인 화장품 브랜드의 백화점 화장품 매장디자인을 기획함에 있어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정립하기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거쳐 최종 결과물을 제시함으로써 차후 백화점 화장품 매장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디자인 제안을 하였다. (연구방법) 첫째, 브랜드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포지셔닝, 그리고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백화점 화장품 매장 디자인의 이해를 위해 시대별 매장의 디자인 변천사를 조사하여 소비환경의 변화에 따라 진화된 매장 디자인 방향을 파악한다. 둘째,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매장디자인의 전략적 요소로 도입하기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설정하고 디자인 대상인 에이지투웨니스의 브랜드 분석을 통해 브랜드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분석하여 디자인 아이템을 개발한다. 셋째, 매장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표현하는 숍 아이덴티티와 광고, 상품 커뮤니케이션을 표현하는 VMD로 구분하여 디자인 결과물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디자인이 완성되고 시공설치까지 완료된 매장에 대해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점검하고 적용된 디자인 아이템 효과를 타진한다. (결과) 본 디자인 연구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달을 위한 백화점 화장품 매장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에이지투웨니스의 매장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브랜드 분석과 디자인 프로세스에 의하여 개발된 디자인 아이템을 매장에 적용하고 디자인 결과물을 통해 표현된 매장의 숍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론) 판매매장의 주목적은 브랜드인지도 확보와 마켓쉐어 확보이다. 브랜드 고유의 철학과 상품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브랜드이미지를 전달하기 쉽게 개발된 시각적 아이템이 효과적이며 일관성 있는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전달함으로서 소비자에게 친근하게 다가서게 되고 브랜드를 기억하게 되어 관심과 구매로 연결되어 매출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심리를 고려한 매장디자인은 브랜드의 성과목표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 importance of spatial design of brand shop has been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as the front-line of brand communication. In the market flooded with brands, delivering the brand image and attributes to consumers might be an important part connected to the life of the brand. Especially, as an industry in which image communication is important, the visual merchandizing design (VMD) and spatial design of shop for cosmetics brands are a sensitive area compared to other distribution areas. This study proposed a design as a guideline for a cosmetics department store design in the future, by presenting the final result after going through the design process to establish the brand identity in case when planning a department store cosmetics shop design of cosmetics brand on sale in online channel. (Methods) First, as a basic research for understanding the brand, this study elucidates the evolved design direction following the change of consumption environment by theoretically considering the brand identity, brand positioning, and brand communication, and then researching the history of design changes in each shop for understanding the department store cosmetics shop design. Second, this study develops a design item by setting up the design process for introducing the brand identity as a strategic element of shop design, and also analyzes the contents the brand aims to deliver through the analysis of brand ‘Age 20s’ as the subject of design. Third, this study reveals the design outcome by dividing it into shop identity representing the brand communication of shop, and VMD representing the advertisement and product communication. Lastly, this study inspects the brand communication elements on the shop with completed design and construction/installation, and then examines the effects of applied design item. (Results) This design study proposed a shop design of Age 20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department store cosmetics shop design for delivering the brand identity. After applying the design item developed by brand analysis and design process to the shop, this study drew the conclusions on the shop identity and brand communication represented through the design outcome. (Conclusions) The main purpose of shops is to secure brand awareness and market share. To deliver the characteristic philosophy of brand and product information to consumers, the visual item that has been developed for easy delivery of brand image should repetitively deliver the effective and consistent image, which could lead to it getting embedded in the consumers’ memory, resulting in their increased interest and purchase, and increase in sales of the product. The shop design considering this psychology of consumers could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goal of a br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