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략적 여성혐오 서사의 등장과 그 의미-웹툰 <뷰티풀 군바리>를 중심으로 (Emergence and Meanings of a Strategic Misogynistic Narrative - focus on the Webtoon Series A Beautiful Soldier)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7.08
32P 미리보기
전략적 여성혐오 서사의 등장과 그 의미-웹툰 &lt;뷰티풀 군바리&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3권 / 3호 / 245 ~ 276페이지
    · 저자명 : 구자준

    초록

    2015년 2월 15일부터 네이버에서 정식 연재되고 있는 웹툰 <뷰티풀 군바리>는 작품의 여성혐오로 인해 많은 논란을 일으킨 작품이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이에 대한 무수한 반발과 비판에도 불구하고, 이 웹툰이 현재까지도 상당한 인기를 누리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독자들로부터 광범위한 지지를 얻고 있다는 점이다. 즉 <뷰티풀 군바리>의 이러한 인기는 단지 일베와 같이 혐오담론을 꾸준히 생산하는 사이트를 중심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남성에 대한 ‘역차별’에 민감한 청년세대 남성 웹툰 독자들로부터 광범위한 지지를 받으며 형성된 것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뷰티풀 군바리>와 같이 역차별에 대한 남성들의 불만을 건드리는 ‘공세적’인 여성혐오 서사가 탄생할 수 있었던 배경과 그 의미를 웹과 웹툰의 청년세대 서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규명하고자 시도했다.
    <88만원 세대>의 출간은 청년세대에 대한 사회적 시선뿐만 아니라 청년세대의 자기 인식에도 큰 변화를 일으켰는데, 이러한 세대의 새로운 자기 서사를 가장 적극적으로 기술한 미디어가 바로 웹툰이다. 웹툰은 기성 미디어에서 외면하던 캠퍼스 드라마와 같은 청년 세대의 일상을 묘사하는 장르를 제시하면서, 고통을 겪는 청년세대의 연대의식과 ‘무임승차자’에 대한 분노가 어떤 방식으로 표출되는가를 드러내고 있다.
    이때 일베는 전라도․좌파․여성이라는 ‘무임승차자’를 상상적으로 제시하면서 청년세대의 서사를 극우적으로 전유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여성에 대한 혐오는 현재의 성별 구도를 ‘바로잡으려는’ 적극적인 ‘전략’을 수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베가 벌이고 있는 문제적 실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데, <뷰티풀 군바리>는 이러한 전략적 여성혐오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한다. 작품은 남성 청년의 몫을 빼앗는 자로 여성을 지목하며, 올바른 여성상에 대한 인식을 분명히 드러내고 교정 전략 및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기안84의 웹툰 <노병가>와 같은 유사한 서사가 보여준 핍진한 묘사와 군생활에 대한 분노를 바탕으로 하되, 군인의 성별을 전환하여 제시하면서 여성에 대한 분노와 상상적 처벌을 극대화한 것이다.
    일베의 여성혐오가 익숙하면서도 새로운 것이었듯이, <뷰티풀 군바리> 역시 청년세대에게 익숙한 문법을 바탕으로 지금까지의 공론장에서는 차마 얘기되지 못했던 것, 즉 ‘무임승차자’ 여성을 처벌하고 교정하는 서사를 네이버와 같은 메이저 플랫폼에서 펼쳐내는 데 성공한다. 물론 <뷰티풀 군바리>의 서사 내에서 ‘무임승차자’가 누군인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이는 성별을 전환시킨 설정 자체가 여성이 무임승차자라는 사실을 끊임없이 환기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A webtoon series titled A Beautiful Soldier, whose official serial publication began on Naver on February 15, 2015, has caused a lot of controversy for its "Misogyny". It is interesting that the webtoon series has enjoyed tremendous popularity and broad support from its readers despite increase resistance and criticism against it. That is, its popularity is based on not only online community 'Ilbe', which have continued to produce hate discourses, but also extensive support from male webtoon readers of the young generation that were sensitive to "reverse discrimination" against men.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s and meanings of an "aggressive" misogynistic narrative to address men's complaints about reverse discrimination such as A Beautiful Soldier by reviewing the narratives of the young generation on the Web and in webtoons.
    The publication of The Generation of 880,000 Won brought huge changes to the self-perception of the young generation as well as the society's view of the young generation. The medium of webtoons has depicted the new self-narratives of the generation most actively. One genre of webtoons depicts the daily life of the young generation as campus dramas, which have been neglected by the established media, and reveals how the young generation in pain forms a sense of solidarity and expresses their anger about "free riders." Then the members of Ilbe have presented Jeolla Provinces, the Left Wing, and women as imaginative "free riders" and turned the narrative of the young generation toward the Far Right. Misogyny is, in particular, accompanied by active "strategies" to "correct" the current gender structure and can thus be called the core of "their problematic practice." A Beautiful Soldier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misogyny based on those strategies. It points out women as unfair beneficiaries who exempt from military service, clearly presents the desirable image of women, and proposes corrective strategies and alternatives. While basing his webtoon series on vivid depiction and anger at military life found in such old narratives as Old Solders' Songs by Gian 84, the cartoonist presents gender switch and maximizes anger and imaginative punishment toward women.
    Similar to the misogyny expressed by Ilbe, which is familiar yet new, the webtoon series have succeeded in developing a narrative of punishing and correcting women who are "free riders", which have not been discussed in the public sphere, on the Naver platform by using language that is familiar to the young generation.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about who are "free riders" in the narrative of the webtoon series, of course, but it constantly arouses the fact that women are free riders according to its setting of gender switch it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