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이퍼서사의 복합양식적 재현 양상 (The Visual and Multimodal Representation of Reality in Hyper Narrativ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8.04
26P 미리보기
하이퍼서사의 복합양식적 재현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어문화 / 65호 / 307 ~ 332페이지
    · 저자명 : 장노현

    초록

    하이퍼서사는 하이퍼링크를 아주 의도적,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만든 ‘잘 구조화된’ 서사물이다. 그것은 기존 인쇄 서사물과 다른 여러 형식적 특성들을 가진다. 본고는 그 특성들 중 하나인 복합양식적 특성이 실제 작품의 서사 구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해 참조하고 분석한 하이퍼서사 작품은 <그래마트론 Grammatron>, <크바드레고 Quadrego>, <지하철 이야기 Subway Story>, <99인의 최종전차> 등의 국외 작품들과 39인 공동작 <두 가족 이야기>, 윤서연·이금영의 <Fugue>, 김민진의 <자화상>, 문홍연·정다슬의 <Truth> 등의 국내 작품들이다.
    하이퍼서사의 가장 기본적이고 우선적인 재현 수단은 문자언어이다. 하지만 인간이 가지는 서사 욕망을 다차원적 감각을 통해 표현하기 위해 하이퍼서사는 문자언어의 도상적 시각성을 받아들인다. 문자언어의 시각적 재현은 서구의 구체시 운동에서 이미 실험된 바 있지만 하이퍼서사에서 보다 본격적으로 활용된다. 문자언어의 시각적 재현은 4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1) 기본 글꼴의 종류나 크기 및 색깔 위반하기, (2) 기본 정렬방식 위반하기 (3) 배경색이나 배경이미지 차용하기, (4) 문자텍스트의 애니메이션화 등이 그것이다. 문자언어의 시각적 재현은 문자의 일렬 배열이라는 전통적인 글쓰기를 약화시키고, 하이퍼서사 독서를 사이버네틱하고 유희적으로 변하게 한다.
    하이퍼서사는 이미지, 소리, 동영상 등을 활용하는 멀티미디어적 재현의 방식도 자주 사용한다. 초기 작품들은 지도, 순서도, 지하철 노선도, 일러스트 등의 시각적 도상들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이는 하이퍼서사를 미로 같은 구조물로 이해했던 초기적 생각의 반영이다. 이에 비해 최근 국내에서 창작된 하이퍼서사에서는 시각적 이미지를 직접 서사 구성과 현실 재현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확인된다. 작품을 통해 확인된 바로는 시각적 이미지의 서사 구성과 현실 재현의 능력은 문자언어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았다. 반면 소리나 동영상 등을 활용하는 재현 방식은 좀 더 실험되고 개발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어초록

    Hyper-narrative is a well-structured narrative created by using hyperlinks very systematically and intentionally. It has various formal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print novels. This paper explores how multimodal characteristics, one of its characteristics, contribute to the narrative composition of actual works. The hyper-narrative works that are referenced or analyzed for this are as follows : Mark America’s Grammatron, Stefan Maskievicz’s Quadrego, David Yun’s Subway Story, Inoue Yumeito’s 99 persons’ last train, and Korean works such as Stories of Two Family, Fugue, Self Portrait, and Truth.
    The most basic and preferred means of representation of hyper-narrative is character language. However, in order to express narrative desires of human beings in multidimensional sense, hyper-narrative introduces the graphic visuality of the language of the characters.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character language has already been experimented in the concrete poetry of the West, but it is used more fully in the hyper-narrative.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character language in hyper-narrative appears in four aspects. (1) Violating the type, size, and color of the default font, (2) Violating the default alignment, (3) Borrowing a background or background image, and (4) Animating text.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text language weakens traditional writing which is a linear arrangement of text, and changes the hyper-narrative reading to cybernetic and playful.
    Hyper-narrative often uses multimedia representation methods that utilize images, sounds, and videos. Early works used a lot of visual icons such as map, order, subway map, illustration, etc. This is a reflection of early thought that understood hyper-narrative as a maze-like structure. On the other hand, in recent works created in Korea, visual images are used for narrative composition and reality representation, not as a guide for searching. Visual images can be as good as a text language to represent characters, events, narrative situations and moods. Unlike visual images, multimedia representation methods that utilize sound or video in hyper-narrative need to be further experimented and develop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어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