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1912)’의 제정 의도와 표기사적 문제점 (The Enacting Intention of Hangul Orthography for Elementary School (1912) and its Historical Problems in Korean Writing System)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7.10
47P 미리보기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1912)’의 제정 의도와 표기사적 문제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사연구 / 25호 / 207 ~ 253페이지
    · 저자명 : 김주필

    초록

    조선총독부에서는 1911년 7월 초, ‘諺文假名遣法’를 제정하기 위해 조사촉탁원(8인)을 선임하여 11월까지 회의를 5회 개최한다. 이 회의에서 ‘일본어 ウ단 음의 한글 표기와 ‘명사+조사, 용언 어간+어미’의 표기가 끝까지 문제되지만, 전자는 ‘ㅡ’로, 후자는 형태음소적 표기를 하기로 하는 등 10여 개의 연구 사항을 모두 결정한다. 그러나 총독부에서는 ‘형태음소적 표기’를 ‘표음적 표기’로, 일본어 ‘ウ단’ 표기를 ‘ㅡ’에서 ‘ㅜ’로 바꾸어 1912년 4월에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이라는 이름으로 공포한다.
    그런데 총독부의 수정 내용은 검토위원 金澤庄三郞의 주장과 같다는 점에서 ‘이 철자법’의 제정에 金澤庄三郞가 깊이 관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金澤庄三郞는 1912년 3월, ≪倭語類解≫을 수정한 ≪日語類解≫를 급하게 편찬해 내면서, “國語[日本語]를 解하는 朝鮮人을 한 사람이라도 많이 養成하는 것이 今日의 急務이어서 …… 국어를 배우려는 조선인을 위해서”, “朝鮮語를 배우려고 하는 日本人을 위해서”라 하여 이 책의 표기에 자신이 구상하던 철자법을 적용하였다. 이 책의 이러한 편찬 의도를 통하여 ‘이 철자법’의 제정 의도도 추론할 수 있는데, 그것은 한국인에게 일본어를 배울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고, 또한 일본인이 한국어를 쉽게 배울 수 있는 표기법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추정은, ‘이 철자법’을 적용한 총독부 간행의 문헌을 통하여 확인된다. ‘이 철자법’은 가장 먼저 일본어 교재인 ≪速修國語讀本≫(1914)에 적용되고, 한국어 교재인 ≪朝鮮語法及會話書≫(1917)에도 충실하게 적용되었다. 전자에서는 일본어의 假名 音에 ‘이 철자법’의 ‘가나-한글 표기 규정’을, 일본어를 설명하는 한글에 ‘이 철자법’의 ‘한글 표기 규정’을 적용하고, 후자에서는 한국어 텍스트에 ‘한글 표기 규정’을, 한국어 발음의 한글 자모표에 ‘가나-한글 표기 규정’을 적용하였다.
    ‘이 철자법’은 거의 모든 조항에 문제점이 드러난다. 이러한 문제점은 한국어의 특징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채 一定한 표음적 표기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특히 한국어의 형태음소적 교체 환경에서 명사와 용언 어간의 기저형을 밝혀 적을 경우, 그 표기에 자동적으로 적용되는 다양한 음운규칙을 일본인 초보 학습자가 파악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간파하여 지나치게 단순화한 표음적 표기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철자법’은 형태음소적 표기를 지향해 온 國語 表記史의 흐름에 逆行한, 反歷史的 表記인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From July to November in 1911, when it was an year after the annexation by Colonial Japanese General Government of Korea (C.J.K.), the government held five consecutive sessions to enact the Hangul Orthography for Elementary School. They proclaimed ‘Hangul Orthography’ made with 16 clause on the basis of the outcome of these sessions in 12th April 1912. The ‘Hangul Orthography’consists of 1 clause about ‘notation principle’, 11 clause on ‘Regulations of hangul writing system for Korean language’ and 3 clause on ‘Regulations of hangul notation for Japanese kana 50 syllables’.
    ‘Regulations of hangul notation for Japanese kana’ was created as tools of converting the 50 syllables, voiced sounds (dakuon), and long vowels of the Japanese kana into hangul by enacting the ‘Hangul Orthography’, which enabled Koreans to learn the Japanese language easier and faster by using their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and hangul. Moreover, the Regulations was not to help Koreans learn language effectively but to help Japanese people such as police and teachers …… etc, who needed Korean language skills in daily life.
    The actual intentions of enacting the ‘Hangul Orthography’ can be found in the text books which the orthography was used. The C.J.K. first applied ‘Hangul Orthography’ in publication of The Japanese Rapid Reading, 束修國語讀本 (1914), by C.J.K., and applied once again in publication of Korean Grammar & Conversation, 朝鮮語法及會話書 (1917), by C.J.K.. Thus the government (C.J.K.) and applied ‘the Hangul Orthography’ in Japanese pronunciation in The Japanese Rapid Reading, the Japanese textbook for Korean, and also in hangul which explains the Japanese text for Korean people. Furthermore, they applied the ‘Hangul Orthography’ to Korean Grammar & Conversation, the Korean textbook for Japanese, but the ‘Regulations of hangul notation for Japanese kana’ to hangul chart for Japanese to learn Korean pronunciation.
    According to these intentions, the C.J.K. enacted ‘Regulations of hangul notation for Japanese kana’ and made ‘phonemic writing system’ as a principle of the Korean writing system which writes and pronounces the principles of the writing systems in various allomorph, coming from the phonological phenomenon in the morpho-phonological substitution environment since those Japanese people of beginner level of Korean cannot learn easily.
    Before Korea was annexed to Japan, this notation principle was considered as going against the existing notation principle of Korean language and overriding the Proposal of the Korean Writing System, 國文硏究議定案, submit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o Hak-Bu, Department of Education, in December 1909.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