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가치 탐색 및 사례 분석을 통한 향후 방향성 제언 (Exploring the Current Status and Educational Value of Cultural Arts Education Using Metaverse Platforms: Case Analyses an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5.06
23P 미리보기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가치 탐색 및 사례 분석을 통한 향후 방향성 제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교육연구 / 23권 / 2호 / 37 ~ 59페이지
    · 저자명 : 김예임

    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인 메타버스 플랫폼이 문화예술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적 가 치를 탐색하고, 국내외 다양한 적용 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발전 방향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메타 버스는 시간·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의 몰입 및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매체로 주목받고 있으며, 예술교 육 현장에서도 감성, 창의성, 상상력 등의 본질적 요소를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 구는 문헌분석과 사례분석을 병행하여, ZEP, Gather Town, Roblox, Minecraft Edu 등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성과 교육적 효과를 심층적으로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메타버스 기반 문화예술교육은 몰입감, 상 호작용성, 창의성 증진, 접근성 확대, 맞춤형 콘텐츠 제공 등에서 뚜렷한 교육적 강점을 보였다. 반면, 고사양 장비와 디지털 격차, 예술표현의 한계, 저작권·윤리 문제 등 현실적 제약도 확인되었다. 향후 발전 방향에 관한 제언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확대를 위해 메타버스와 문화예술교육의 유기적 통합을 위한 커리큘럼 설 계, 콘텐츠 질 제고, 정책적 지원, 플랫폼 표준화, 혼합형(블렌디드) 교육 모델 구축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성과는 메타버스 기반 문화예술교육이 예술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impact and value of metaverse platforms in cultural arts edu- cation,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through an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pplication cases. With the rise of the metaverse as a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medium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and enhances learners’ immersion and interaction. In the field of arts education, the metaverse offers a new envi- ronment for cultivating essential elements such as emotion, creativity, and imagination. Employing both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ef- fects of various metaverse platforms—including ZEP, Gather Town, Roblox, and Minecraft Edu—with- in cultural arts education. In the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an organically integrated curriculum between metaverse platforms and arts and culture education, improvement in content quality, policy support, platform standard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blended learning model to expand the use of the metaver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enhancing the fundamental value of arts education through metaverse-based cultural and artistic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