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술관 소셜 플랫폼을 통한 경험 확장과 전략 실행에 관한 모델 제안 - MoMA, Tate를 중심으로 - (Model proposal for expanding experience and strategy implementation through social platform of art museum - Case Analysis of MoMA and Tate -)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7.09
13P 미리보기
미술관 소셜 플랫폼을 통한 경험 확장과 전략 실행에 관한 모델 제안 - MoMA, Tate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30권 / 321 ~ 333페이지
    · 저자명 : 이언주

    초록

    동시대 미술관은 소셜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컬렉션을 창조적이고 실험적인 방식으로 확장해야 할 과제를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해, 현재와 미래의 가치 및 행위로서 자리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를 새로운 방식으로 사용자들의 경험을 유도하고 교류해야 하는 사명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전략 실행으로 미술관의 효용성 있는 가치 전달이 요구되나, 다수의 미술관에서 이러한 전략의 제시, 형성, 실행에 대한 인식이 미흡하고 연구 또한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외의 미술관 소셜 플랫폼 중, 디지털 전략에 비중을 두고 있는 뉴욕현대미술관과 테이트 갤러리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 경험 확장을 목표로 한 전략 및 실행을 분석하였다. 미술관은 다양하고 심오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컬렉션 활용과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프로젝트의 전달 여부도 살펴보았다.
    사례 분석에서 뉴욕현대미술관은 학습을 바탕으로 한 풍부한 콘텐츠와 유명 매체를 활용하여 디지털 경험과 실제 경험을 위한 연결을 추진하고 있었다. 테이트 갤러리는 몇 년 단위로 구체적인 디지털 전략 사항을 제시하고 이를 소셜 플랫폼을 통해서 창의적인 프로젝트와 전략적인 메시지 전달로 이행하며 디지털 영역에서 선두적인 미술관이 되려는 야심을 보였다. 또 뉴욕현대미술관과 테이트 갤러리는 소셜 플랫폼을 활용하여 홈페이지의 지식 및 정보로 사용자들을 유도하고 독자적인 온라인 공간을 구축하려 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디지털 경험에 관한 문헌을 참고하고 사례 분석을 토대로, 소셜 플랫폼에서 미술관 경험을 위한 전략의 실행 방법과 확장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는 미술관의 가치를 바탕으로 한 전략과 사용자와의 교류가 디지털 경험으로 확장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 것으로, 핵심 전략 사항이 소셜 플랫폼에서 사용자들의 경험을 위한 교류로 실행되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이러한 실천 과정에서 사용자들의 활동은 이제 미술관 안팎에서 역동적으로 드러나며, 미술관의 문화적 가치를 변화하고 확장하는데 동참하게 될 것이다. 동시에 미술관은 사용자들이 예술에 대한 경험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잊지 않고 그들을 자극하고 선동하는 장소로서의 역할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가 제안한 모델과 같이 미술관 소셜 플랫폼에서 전략 실행, 역량의 응용, 이에 따른 융복합적 사고의 수용 및 연구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Contemporary art museums have the task of expanding digital collection in a creative and experimental way through social platforms. That is,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are required because of the need to deliver cultural values in a useful way. However, in many museums, the awareness of the presentation, formation, and execution of these strategies is insufficient and research is not actively conducted.
    For this reason, this study analyzed the core strategies and practices aimed at expanding the digital experience centered on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and the Tate Gallery, focusing on digital strategies among the social platforms of art museums. Museum of Modern Art was using learning-based contents and popular media to promote connections for digital experiences and real-life experiences. In recent years, Tate Gallery has shown its ambition to be a leading museum in the digital area by presenting digital strategies in concrete terms, implementing them on social platforms, delivering creative projects and strategic messages. In addition, Museum of Modern Art and Tate Gallery attract users to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their homepages using social platforms, and establish their own online space.
    Finally, this study refers to the literature on digital experience and suggests implementing strategies and expanding model for art museum experience on social platforms based on case analysis. This emphasizes that the strategy that is formed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museum and the interaction of the user should be expanded to digital experience and that the core strategy should be implemented as an exchange for the art experience on the social platform. In the course of this practice, users' activities are now dynamic in and out of the museum, it will be involved in changing and expanding the cultural value of the art museum. At the same time, art museums should not forget that users can create experience of art. Also they should play a role as a place to stimulate and instigate them. In the future, social platform of art museums requires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and application of capab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