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공연의 메타버스 주요 속성 적용 연구 연극, 뮤지컬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Application of Key Metaverse Attributes in Performances Utilizing Metaverse Platforms - Focus on Theater and Musicals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4.08
12P 미리보기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공연의 메타버스 주요 속성 적용 연구 연극, 뮤지컬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5호 / 513 ~ 524페이지
    · 저자명 : 김민경, 정지윤

    초록

    (연구 배경 및 목적) COVID-19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비대면 문화를 촉진시켜 메타버스(Metaverse)가 급부상하였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기술을 활용하여 사회, 경제, 문화 활동을 융합하는 디지털 세계로, 공연예술계에서는 현장성, 동시성, 상호작용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의 주요 속성과 공연예술의 특성을 분석하여 연극 및 뮤지컬 장르의 메타버스 공연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메타버스 공연 플랫폼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메타버스 공간에서 공연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COVID-19 이후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를 비롯한 문화예술 공공기관들은 메타버스 활성화 지원 사업을 시작하여 다양한 공연 장르의 메타버스 공연 콘텐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공연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던 2020년부터 2023년 12월까지 기간 동안 메타버스 공간에서 실연된 연극 및 뮤지컬 장르의 공연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통해 국내 메타버스 공연 콘텐츠 개발을 위한 메타버스의 주요 속성을 도출하여 사례 유형별로 속성 적용 정도를 분석한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혼합현실형 메타버스 공연이 가상 현실형 메타버스 공연보다 실재감 부분에서 더 높은 속성 적용 정도를 보였다. 혼합현실형 공연은 다양한 감각(시각, 후각, 촉각)을 자극해 높은 실재감을 제공한다. 반면, 가상현실형 메타버스 공연에서는 전문 성우와 인플루언서를 활용해 청각적으로 몰입감을 높였고, 뮤지컬 공연의 경우 의상, 실제 사용하는 의상을 디자인하여 제공하고, 안무의 모션 캡처를 통해 실재감과 상호작용성을 강화하였다.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콘텐츠를 구축한 가상 세계가 필요하였다. 모든 사례에서 관객 참여를 통해 상호작용이 증대되었고, 관객의 동시 접속을 통해 동시성을 느낄 수 있었다. 특히 글로벌 플랫폼에서 공연한 가상현실형 공연의 경우 다수의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글로벌 메타버스 공연 콘텐츠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연극, 뮤지컬 장르의 메타버스 공연 콘텐츠 개발 및 이를 위한 플랫폼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한다. 첫째, 공연의 연속성을 위해 지속적인 공연 기획과 장기적인 스토리텔링 콘텐츠가 구축되어 있는 가상 세계가 필요하다. 둘째, 관객의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 AI 기술을 활용한 실감 나는 공연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관객의 실시간 상호작용 환경을 제공하여 공연의 몰입감을 증대시켜야 한다. 넷째, 다국어 지원을 통해 전 세계 관객이 동시에 공연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여 글로벌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 다섯째, 디지털 통화를 활용한 티켓 판매와 가상 아이템 판매로 새로운 경제적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VID-19 pandemic has accelerated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proliferation of contactless culture, leading to the rapid emergence of the metaverse. The metaverse, a digital world that integrates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activities using virtual reality (VR), augmented reality (AR), and mixed reality (MR) technologies, is gaining attention in the performing arts sector as a new platform that can realize presence, simultaneity, and interactivity. This study analyzes the key attributes of the metaver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platform capable of implementing metaverse performance content in the theater and musical genres.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for sustainable metaverse performance platforms and investigate new possibilities for performing arts within the metaverse space. (Method) The study focuses on theater and musical performances conducted in the metaverse space from 2020, when metaverse performances began in earnest, to December 2023.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literature review and prior studies to identify the key attributes of the metaverse necessary for developing domestic metaverse performance content. It then analyzes the extent to which these attributes are applied across different case types.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mixed reality metaverse performances showed a higher degree of attribute application in terms of presence compared to virtual reality metaverse performances. Mixed reality performances stimulate various senses (visual, olfactory, tactile), providing a high sense of reality. On the other hand, virtual reality metaverse performances enhance auditory immersion by utilizing professional voice actors and influencers. In the case of musical performances, designing and providing actual costumes and using motion capture for choreography enhanced the sense of reality and interactivity. To maintain continuity, a virtual world with diverse content was necessary. In all cases, audience participation increased interactivity, and simultaneous access provided a sense of concurrency. Particularly, virtual reality performances on global platforms were exposed to a large number of users, predicting the potential of global metaverse performance content.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etaverse performance content and platforms in the theater and musical genres. First, a virtual world with continuous performance planning and long-term storytelling content is necessary to ensure the continuity of performances. Second, immersive performance experiences using AI technology are essential to enhance audience engagement. Third, an environment for real-time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the immersion of performances. Fourth, supporting multiple languages to allow simultaneous viewing by a global audience can enhance the potential of global cultural content. Fifth, using digital currency for ticket sales and virtual item sales can create new economic revenue mod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