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인문학 중심 스토리텔링 지식플랫폼 융합 필요성 및 방안 연구 (The Necessity and Plan research about Convergence of Storytelling knowledge-Platform from Digital Humanities)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6.01
15P 미리보기
디지털인문학 중심 스토리텔링 지식플랫폼 융합 필요성 및 방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54권 / 337 ~ 351페이지
    · 저자명 : 임수경, 김미나

    초록

    인문학지식이 일반교양 영역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현대인은 매체의 세계 속에서 일방적으로 지식을 습득할 뿐만 아니라 양자 간의 반응, 효과, 영향 등으로 얽힌 상호작용이 가능하여 보다 능동적이고 역동적인 활동이 가능한 플랫폼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문학적 상상력과 역사적 지식, 그리고 체험적 역사공간을 결합시킨 스토리텔링 지식플랫폼 <디지털인문학 한강>융합이라는 의의를 가진다. 이는 사용자들에게 지리와 역사를 연계시킨 지식정보에 현대인들의 꼭 필요한 감성코드인 문학적 감성을 함유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를 위해, 2장에서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식플랫폼의 현황과 그 종류별 특징을 분류하여 스토리텔링 지식플랫폼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3장에서는 운영되고 있는 스토리텔링 지식플랫폼의 사례를 특징과 한계점에 관해 정리하고, 4장에서는 구축하고자 하는 스토리텔링 지식플랫폼 <디지털인문학 한강>에 방향을 정리・제시하고자 한다.
    스토리텔링 지식플랫폼의 개발방안을 활용함으로써 후속 연구로 진행하고자 하는 <문학지리학 디지털 정보를 활용한 학제적 교육방법론 구축>과 <디지털 한강을 중심으로 한 한국형 브랜드 이미지 융합 방안> 등은 ‘디지털인문학적 사고를 활용한 종합적 현대인의 교양양식’을 형성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또한 문학, 역사 뿐 아니라 타 전공분야와의 학문적 유대 강화와 심화된 학제 연구 권장의 이론적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As the spread of an individual smartphone the ubiquitous feature is mounted, the 21st century society emphasizes the need of a pan-humanistic knowledge beyond the objective scope criteria for each academic area. In particular, as a humanistic knowledge began to be perceived as general liberal areas, the interest about the extent and acquisition process of the humanistic knowledge, the use media and so on increases too. Here, the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the use media mean that all sorts of digital forms newly appear as 'the tool of knowledge acquisition'. Modern people whose new knowledge can be provided through the media with an easy way demand a platform where a more active and dynamic activity is possible because they not only acquire knowledge unilaterally in the world of media but also are possible to interact with the reaction, effect and influence between both sides.
    Especially, as modern society where modern people live in is getting complex and diverse, the discussion on convergence/integration and application is becoming more active. Basically, a modern man should have competitiveness which requires a combination or an integration accepting not fragmentary knowledge confined to their interests but an adjacent field or the knowledge of field which can be associated with social phenomenon.
    In this study, by constructing and providing the platform of <Digital Humanities, the Han River> as the integrating hub of convergence/integration, it can include literary sensibility which is an essential emotion cord for modern people in a knowledge information linked to the geography and the history for users. At this time, this platform will provide a recreated DB in the form of the data or links of the sites relating to geography・history・literature. This plans the expansion of understanding throughout modern society and culture where users belong to and will play a potential role in developing them as an integrated and creative talent. Through the platform of <Digital Humanities, the Han River>, by sharing the integrated humanistic knowledge with history and literature as the center, ultimately, we can expect even a synergy effect such as the digital enjoyment of the Korean humanities contents, the Han River tour product development and the formation of a business district around the Han River and so on, <The School Systematical Teaching Methodology Building Using the Literature Geography Digital Information> and <The Korean Style Brand Image Building Plan with the Digital Han River as the center> and so on will be follow-up studies that are going to be proceeded and we want to contribute to forming 'The Modern People's Comprehensive Liberal Form Using a Digital Humanistic Thin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