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작자 중심의 해외 크라우드형 플랫폼 노동에 관한 융합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ce of Labor in Creator-Oriented International Crowd Work Platforms)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1.09
11P 미리보기
창작자 중심의 해외 크라우드형 플랫폼 노동에 관한 융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39권 / 4호 / 179 ~ 189페이지
    · 저자명 : 백경화, 하은아

    초록

    플랫폼을 통한 새로운 노동의 유형이 생겨나면서많은 창작자가 이 노동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노동 플랫폼에서 이루어지는 창작 노동의 특성과 운영방식 등을 분석하여 앞으로 창작 노동자를위한 플랫폼이 창작자들의 특성을 어떻게 반영하고운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현재 가장 많은 창작자가 등록되어 있는 해외 대표적 플랫폼인 업워크, 99디자인스, 디자인크라우드 세곳을 선정하였다. 문헌을 비롯한 각종 리서치 보고서, 전문가와 창작자 리뷰 등을 바탕으로 노동력을 이용하는 자(고객) 측면, 노동력을 제공하는 자(창작자) 측면, 운영 주체인 플랫폼 측면으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직군이노동자로 등록하는 플랫폼의 경우 다른 분야 전문가들과 TF팀 구성이 가능하다. 둘째, 디자인 전문플랫폼의 경우 개별매칭 외에 디자인 팀 구성이 가능하고, 이 경우 임금과 팀의 지속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셋째, 창작 노동을 세분화하여 일의 범위를 명확히 하고최저임금책정으로 소모적인 가격경쟁을 예방한다. 넷째, 창작물의 거래가 가능한 상설 마켓플레이스를 운영하여 노동의 다양한 거래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창작 노동 플랫폼의 발전 방향과 가능성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창작 노동 플랫폼은 서로 다른 고용의 형식과 성격을 가진 다양한 플랫폼이 유용할 것이다. 둘째, 신진 창작자와 디자이너들이 일의 기회를 잡고 성장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창작자와 디자이너의 평가가 다면평가 시스템으로 이루어져야한다. 넷째, 창작 노동의 전문성을 가진 플랫폼 디렉터에 비중을 두어 창작 노동의 가치와 노동의 질을 높일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현재 활성화 되고 있는그래픽디자인 분야 이외 플랫폼거래가 어려운 다른 창작영역도 가능성을 찾아야 한다. 여섯째, 상설 마켓플레이스를 활성화시켜 고용의 형태를 원하지 않는 창작자들을 또 다른 방식으로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영어초록

    Many creators have been entering the labor market as new types of work have been created through platform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labor as well as the operating method used by current labor platforms.
    The intent of the researcher was to suggest ways that platforms for creative workers could operate in the future in order to proper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reators.
    The researcher was able to identify three things based on the literature, various research reports, and reviews from experts and creators: the aspects of the customers that use the labor force, the aspects of the creators that use the labor force, and the aspects of the operating host platform.
    The analyzed content is as follows. First, it was possible to form a TF team with experts in other fields on platforms where various occupational groups were registered as workers. Second, design-specialized platforms made it possible to form a design team in addition to individually matching experts and customers, which led to higher wages and team sustainability. Third, the scope of work could be clarified by subdividing creative labor, which meant that exhaustive price competition was prevented through the ability to set a minimum wage. Fourth, various forms of labor were shown through the operation of a permanent marketplace where creatives could be traded.
    The researcher has proposed the following developmental directions and possibilities for creative labor platforms. First, various platforms with different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will be useful for creators. Second, alternatives will need to be created to help budding creators and designers seize work opportunities and grow. Third, an evaluation of creators and designer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a multifaceted evaluation system. Fourth, the value and quality of creativity can be enhanced by focusing on platform directors with expertise in creative labor. Fifth, other creative areas need to be established for instances where trading on the platform is difficult. This should be in addition to the currently active graphic design field. Sixth, a permanent marketplace will need to be activated in order to accommodate creators that do not want to seek any other form of employ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