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털 웹툰 플랫폼의 산업 규모와 운영 정책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Size of Portal Webtoon Platform Industry and Its Management Policy Model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4.06
18P 미리보기
포털 웹툰 플랫폼의 산업 규모와 운영 정책 모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애니메이션연구 / 10권 / 2호 / 145 ~ 162페이지
    · 저자명 : 박석환

    초록

    웹툰이라는 용어가 신문 지상에 처음 등장한 것은 2000년 ‘동영상 만화 웹툰 새 장르 펼친다’라는 제하의 기사를 통해서다. 초기에는 웹애니메이션을 의미했다. 2003년 강풀이 <순정만화>를 연재하면서 컷과 페이지를 구분하지 않고 세로로 길게 펼쳐진 만화 형식을 선보였고 이후 이와 같은 형식의 만화를 ‘웹툰’이라 불렀다.
    이 시기를 전후로 웹툰은 한국만화의 새로운 작가그룹과 작품형식을 대표하는 용어가 됐다. 포털사이트 다음과 네이버는 웹툰의 창작과 소비를 관장하고 신예 작가와 작품을 육성하는 한편, 신규 소비자와 관련 기업을 시장으로유입시키는 역할을 했다. 그로부터 10여 년이 흐르고 이제 웹툰은 한국만화를 대표하는 장르가 됐고 콘텐츠산업계의 중심이 됐다. 포털의 역할이 컸지만 포털의 과도한 지배구조를 걱정하고 비판하는 견해도 있다. 이 같은 부정론은 포털의 수익구조와 운영정책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다수의 견해가 정확한 데이터나 이론에 입각한 것이 아니고 잘 못된 지표에 의한 추정인 경우가 많아서 내외부적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문헌조사와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포털웹툰 산업에 대한 비용과 수익 규모가 연 1,500억 원 규모임을 산정해 냈다. 또한, 포털웹툰 플랫폼에 참여하고 있는 주최들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포털의 플랫폼운영정책 모델이 파놉티콘형 구조를 취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포털이 좀 더 적극적으로 운영 현황을 공개하고 공유해야 한다는 요구가 될 수 있다. 최근 네이트, 케이티 등 이동통신 기반의 기업이 웹툰산업에참여하고 있고 중소형 웹툰 플랫폼이 다수 운영되면서 포털 중심의 시장현황에 대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지만 아직그 규모나 영향력은 제한적이다. 결국 포털웹툰 플랫폼의 과도하게 집중화된 운영정책을 합리적으로 분산 집중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만화산업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term webtoon first appeared on a newspaper in 2000 on the newspaper articletitled ‘video cartoon, webtoon, is opening a new genre.’ In early days, itmeant web-based animation. In 2003 through a cartoon series of <Romance Comics>,Kangful showed a new form of cartoon that is spread in lengthways without the distinctionbetween cuts and pages. Whereafter, this forms of cartoons began to be called‘webtoons.’ Before and after that period, the word webtoon has become a terminologythat represents the new Korean cartoonist group and the new cartoon form. The internetportal sites Daum and Naver have encouraged the creation and consumption of thecartoons with promoting new cartoonists and their works. As such, those portal siteshav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inflow of new consumers and related enterprises intothe market. Ten years later since that period, now the webtoon became a Korean representativecartoon genre and the center of contents industry. In this process, the rolesof portal sites were considerable. However, their overwhelming market dominating powershave been concerned and criticized. These negative perspectives were extended tothe criticisms on the portals’ profit structures and management policies. Considerablecases of those criticisms, however, have been raised on the basis of not accurate dataor theoretical references but incorrect data and consequent estimations. Thus, internaland external confusions have been produced.
    In this context, present research estimated that a total cose-profit size of portal webtoonindustry is approximately 150 billion won a year, through reviewing of previous literatureand interviewing with related experts, Furthermore, the research found that portals’platform management models have structures of panopticon, on the basis of the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 actors who participate in portal webtoonplatforms, These results imply that portals need to disclose their management statusesso that people can share the information. The results also imply that portals’webtoons management policies need to pursue deconcentration because those policiestend to be excessively concentrated regardless of inten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