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을 위한 협업플랫폼 개발 연구 (For commercial space design strategy Collaboration platform development study)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0.10
20P 미리보기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을 위한 협업플랫폼 개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5권 / 7호 / 27 ~ 46페이지
    · 저자명 : 이소이, 이돈일, 이은영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상업공간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디자인적 요소가 요구되고 이와 관련된 전문 회사들의 협력을 토대로 디자인 프로젝트가진행된다. 그러나 공간디자인은 프로세스와 프레임 워크적인 연구는 부족하고 전문적인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는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을 위한 실행 차원에서의 디자인 개발 도구로 상업공간 디자인의 활성화를 위한 특성 요인 구축과 프로세스 활용으로 한정한다. 실무자들은 상업공간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와 상업공간 디자인 경영전략 구축에 통합적으로관리, 소통하며 공유할 수 있도록 활성화 되어 져야 한다. 연구의 목적은 시대적 요구를 받아들여 최근 상업적 공간들의대표적인 디자인경영 전략을 ‘협업 플랫폼’으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한다. (연구방법) 상업공간 디자인의 전략적 목표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디자인 프로세스 과정의 개념은 가치 있는 수단이다.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과정으로 소비자와 기업, 디자이너 외 다양한 통합적 소통 프로세스 과정을 설정하고 상업공간의 디자인 전략 과정에 있어 개념, 요소, 절차가 무엇인지 명확한 요인을 도출하여 활용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분석의 틀을 개발하여 실행 체계 검증을 위해 분포도와 빈도를 분석한다.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 기준으로 분석하여 객관적인 가치를 도출하며, 상업공간 디자인이 진행될 때 사용될 수 있는 로드맵을 제시한다. (결과) 상업공간 디자인에서 협업플랫폼은 디자인 전략이 진행될 때 적절하고 합리적으로 진행이 이루어지게 되며 각 진행단계에 따라 공간디자인 세부요소의 우선순위와 중요도에 따라 상황, 시간, 장소에 맞게 플랫폼 세부요소를 선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해관계자 중심의 시각에서 프로세스진행 순서와 디자인 요소에 대해 파악하여 협업적 플랫폼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주체자 관계 간에 따라 마케팅 플랫폼 구성요소에서 어떤 것들을 강조하여 진행해야 하는 지, 혹은 중복되는 작업에 대한 기준 부재를 해결, 적합한 인력구성에 대해 역량을 파악 할 수 있다. (결론)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은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정립되지 못하였고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되며 학제적 접근이 요구되는 디자인 컨설팅 연구이다. 협업플랫폼 프레임 개발로 다양한 상업공간디자인 전략 구축에 일조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의 이론적 기초를 정립하고, 효과와 가치를 증명함으로 상업공간 디자인의 본질적 가치뿐만 아니라, 기업의 미래 사회에서 추구 될 새로운 공간디자인 가치를 구체화 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상업공간의 디자인 협업플랫폼 전략은 기업에게 새로운 시장 개척과 무형의 자산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하고, 방법론을 구축하여 필수적 요소들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commercial space design (CSD) development process, it is difficult to find specific operational cases that can be managed by design, design, and marketing departments. Losses and conflicts occur frequently due to such work and work vacancy. In addition, process and framework research is insufficient, as is specialized research. This study is a design development tool at the execution level for a CSD strategy and is limited to the establishment of characteristics and process utilization for the activation of CSD. Practitioners can integrate, manage, communicate, and share the CSD development process and strategy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new way to pursue the needs of the times and of recent commercial spaces with a design management strategy as a “collaboration platform.” It was significant to create a space business model that fits the paradigm shift in the platform to establish a CSD strategy process, and derive the elements necessary for a simple CSD for a collaboration platform to present practical application guidelines. (Method) As a process to create new value, various integrated communication processes other than consumers, companies, and designers are set, and clear factors of concepts, elements, and procedures in the design strategy process of commercial spaces are deduced to study application plans. We develop an analysis framework and analyze the distribution and frequency to verify the execution system. We further analyze the CSD strategy standards to derive objective values and present a roadmap that can be used when CSD progresses. (Results) The study’s purpose is to create a spatial business model for the paradigm change through the platform to establish the CSD strategy process and derive the factors necessary for CSD through the collaboration platform. (Conclusions) The expected effects of the framework based on the collaboration platform for the CSD strategy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① Establishment process of detailed design elements through integrated thinking and communication among stakeholders. ② Shortening the time of overall design development and reducing costs by making decisions through decision-making. ③ Time sharing and communication through real-time feedback by sharing collaboration platform tools among stakeholders. ④ Establishment of a corporate identity and identity of space, progressive distribution, and selection of detailed elements of space design. ⑤ Improving the brand and company’s image according to the matching target images of actual spaces to be installed in the future as well as spaces to be designed as per consumer needs (in other words, detailed development of an open type collaboration platform that can support user particip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