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건축 사진에 대한 연구 (An Aspect of Architectural Photography in Digital Platforms)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5.02
8P 미리보기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건축 사진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34권 / 1호 / 54 ~ 61페이지
    · 저자명 : 유아람

    초록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widespread use of social media have significantly transformed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appreciation of architectural photography. Platforms like Instagram, which emphasize visual content, have introduced new ways for architectural photographs to construct narratives through active viewer interaction. This shift has expanded the role of architectural photography beyond its traditional function as a medium for documentation and aesthetic representation, allowing it to become a dynamic tool for storytelling and spatial explor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architectural photography on digital platforms forms narratives by adopting cinematic techniques. Drawing on David Bordwell's narrative theory in film, the study explores how cinematic methods—such as pan, tracking, montage, and zoom-in/zoom-out—parallel the interactive viewing practices on digital platforms. These techniques are examin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scenes from films and the presentation of architectural photography on social media, particularly focusing on user interactions like swiping, scrolling, and touching. The findings indicate that architectural photography on digital platforms forms narratives through user engagement, allowing viewers to navigate spaces and interpret meanings more actively.
    This interaction fosters deeper connections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visual content, suggesting that architectural photography has evolved into an interactive medium that delivers not only visual information but also narrative depth. This study offers a fresh perspective on the appreciation and narrative formation of architectural photography within digital platforms.

    영어초록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widespread use of social media have significantly transformed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appreciation of architectural photography. Platforms like Instagram, which emphasize visual content, have introduced new ways for architectural photographs to construct narratives through active viewer interaction. This shift has expanded the role of architectural photography beyond its traditional function as a medium for documentation and aesthetic representation, allowing it to become a dynamic tool for storytelling and spatial explor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architectural photography on digital platforms forms narratives by adopting cinematic techniques. Drawing on David Bordwell's narrative theory in film, the study explores how cinematic methods—such as pan, tracking, montage, and zoom-in/zoom-out—parallel the interactive viewing practices on digital platforms. These techniques are examin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scenes from films and the presentation of architectural photography on social media, particularly focusing on user interactions like swiping, scrolling, and touching. The findings indicate that architectural photography on digital platforms forms narratives through user engagement, allowing viewers to navigate spaces and interpret meanings more actively.
    This interaction fosters deeper connections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visual content, suggesting that architectural photography has evolved into an interactive medium that delivers not only visual information but also narrative depth. This study offers a fresh perspective on the appreciation and narrative formation of architectural photography within digital platfor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