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폴 비릴리오(Paul Virilio)의 전쟁론과 시각 테크놀로지의 상관성 - 영화 <허트 로커(The Hurt Locker)>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aul Virilio's Theory of War and Visual Technology - Focusing on the Movie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2.12
36P 미리보기
폴 비릴리오(Paul Virilio)의 전쟁론과 시각 테크놀로지의 상관성 - 영화 &lt;허트 로커(The Hurt Locker)&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연구 / 66호 / 245 ~ 280페이지
    · 저자명 : 신성환

    초록

    본 연구는 폴 비릴리오(Paul Virilio)의 관점을 활용하여 과학기술공학적 산물, 특히 시각 테크놀로지가 전쟁기계로 작동하는 과정에서 그것의 주체인 인간조차 기계화되는 양상을 진단하였다. 인간 주체의 변화 문제를 기술발전과 시각체계의 상관관계에 근거하여 탐구한 비릴리오는 ‘질주학’, ‘지각의 병참학’이라고 불리우는 독창적인 이론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속도와 시각과 전쟁을 접목하고, 기술이 개입된 시각 체계의 공격성과 위험성을 경고하였다. 속도와 시각을 강화하려는 기술은 결국 전쟁으로 귀결되며, 시각기계의 발명과 전쟁 테크놀로지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군사위성을 활용한 우주공간의 전 세계 감시정보 시스템에서 병사들 개개인에게 전쟁의 포괄적 상황을 시각적으로 전송하고 전송받는 디지털 군사카메라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군사적 시각기계가 전쟁의 명백한 주권자 노릇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진보된 기술 네트워크는 21세기 지구의 어떤 곳, 어떤 활동도 한눈에 내다 볼 수 있는 원격감시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하며, 사이버광학은 과거의 미학이나 민주주의의 윤리학을 허물며 전체주의적 위험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보기(seeing)의 실패’라는 문제를 명시하는 영화 <허트 로커(The Hurt Locker)>는 비릴리오의 지각이론과 전쟁론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 영화는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근무하는 폭발물 제거반 대원들이 시각기계에 전적으로 의지하게 되면서 그 스스로가 전쟁기계로 변모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허트 로커>는 영화의 복합적 시점 체계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전쟁의 지각방식을 관객들이 그대로 체험하도록 유도한다. 비릴리오의 관점으로 보자면 이라크에서의 미국의 실패는 곧 시각체계를 제대로 장악하지 못한 데에서 비롯된다. 보기의 실패, 오인과 착시, 그릇된 판단, 그럼으로써 통제불능의 지각상태에 이르는 상황이 영화의 핵심적 주제이다. 나아가 절대 속도에 도달한 무기체계의 등장으로 공간이 소멸되는 새로운 전쟁상이 집약된 바그다드는 역시 일종의 벙커로서, 전장의 경계가 사라지고 ‘시간의 저항’과 ‘신체없는 저항’의 양상을 극대화한다. 기계적인 이미지에 의존하여 전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눈은 철저히 퇴화되고 온전한 판단력도 상실된다. 이는 전적으로 전쟁의 지각체계가 그 주체인 인간을 타자화한 결과이며, 그 최종적인 종착점은 비릴리오의 이식혁명이 명시하는, 인간 자체가 자폭기계인 자멸적 형상의 등장이다.
    비릴리오가 말하는 것은 매체 기술의 발달이 우리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 같지만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자기파멸의 가능성을 숨기고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에는 인간 실존까지 위협할지도 모른다는 전망이다. 비릴리오는 특히 기계가 개입된 시각의 중요성을 깊이 통찰, 인정하고 그것이 가져올 파행적인 변화를 중시한다. 인간이 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은 결국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옹호이며 일종의 기술의 윤리학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Advancement in technical environment makes revolutionary change of the relations between main agents of visual recognition and picture images.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problem of main agents of visual recognition at the modern picture images, perception of technology and visual system in modern picture images based on the theory of Paul Virilio. Paul Virilio look into the speed acceleration by technology as the characteristic in Dromology. According to Virilio, the politics of speed and the media revolution has caused contemporary space and time to disappear. This could endanger democracy. When the speed reaches absolute status, authoritative power delocates, deterritorializes, and endocolonizes human life by maintaining a condition of techno war. This study tries to make clear the theoretical relations between speed, visual system and power. There are three kinds of revolution of dromology in his theory. He contemplaters his theory based on the phenomenology through advanced transporter, the revolution of real time electronic media and the transplant revolution.
    There is a similar phenomenon of the visual system of war and transplant revolution in the movie <The Hurt Locker> as his point of view. This text shows us the distorted benefits of the digital technology to human being and society. Paul Virilio and this texts are shown that ventilation of our situation and ethical question about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visual system. Ultimately, he insists that human being can control the speed against the growth of science. In particular, his attention to the value of space as the basis of humanity is taken as a strategy for the recovery of the human condition. And then this study has tried to draw the clue about how to overcome the status of dependence on technology and techno phobia by considering their self-contr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