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해석학의 관점에서 분석한 폴 틸리히의 상관관계방법 (An Exploration of Paul Tillich’s Method of Correlation in terms of His Hermeneutics of Cultur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3.06
29P 미리보기
문화해석학의 관점에서 분석한 폴 틸리히의 상관관계방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35호 / 123 ~ 151페이지
    · 저자명 : 황민효

    초록

    종교와 문화의 관계설정 문제는 그리스도교 신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영속적인 문제 중 하나였다. 폴 틸리히는 종교와 문화의 관계설정 문제에 있어서 일생을 바친 신학자라 말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문화신학자로서 그는 일생을 통해 세속문화안에서 그리스도교 메시지를 새롭고 창조적인 방식으로 전달하고자 노력하였다. 특별히 틸리히는동일한 개념을 다룸에도 철학적 개념과 신학적 개념 사이에 화해될 수없는 논리적 차이점들이 있다는 것을 주목하였다. 틸리히는 서로 구분되면서도 동일한 개념을 다루는 이 두 담론을 어떻게 연결시킬 수 있을까 고민하였고, 그 해답으로 소위‘상관관계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방법론의 핵심은 실존의 철학적 분석으로부터 기인한 문제에 그리스도교 메시지로부터 나온 신학적 대답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그의 시도는 많은 비판들을 받았다. 어떤 이들은 그의 방법론에서 철학적 질문들이 신학적 대답을 결정하고 있다고 비판하였고, 또 다른 이들은 신학적 대답으로부터 철학적 질문을 도출하고있는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하였다. 그리고 또 다른 이들은 실상 틸리히가 주장한 것처럼 질문과 대답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다고 비판하였다.
    물론 이들의 비판들이 틸리히의 상관관계방법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여기에는 심각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그것은 그들은 상관관계방법이 단순히 철학과 신학, 또는 질문과 대답을 상호연결하기 위한 단순한 방법론이 아니라, 인간의 실존과 창조물들에 종교적인 의미와 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문화해석학임을 간과하고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틸리히의 상관관계방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그러나 하나의 신학방법론으로서가 아니라 종교와 문화의 문제를포괄하는 문화해석학의 틀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 작업을 위해 먼저I I장에서는 틸리히의 문화해석학의 핵심인 자율, 타율, 신율에 관하여분석을 할 것이며, I I I장에서는 틸리히의 상관관계방법의 핵심을 간단히요약한 뒤, 문화해석학의 관점에서 틸리히의 상관관계방법 이론에 주어진 비판들에 관하여 응답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하여 만일 우리가 틸리히의 상관관계방법을 문화해석학의 관점에서 살펴본다면, 틸리히의 상관관계방법은 종교가 세속문화에 관계하는데 있어서 여전히 가치 있고 영향력 있는 방법론임을 알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할 것이다.

    영어초록

    How can Christianity understandably and persuasively reclaim its place in relation to religious skeptics, modern culture, and the secular world? This question of the relation of religion to culture has been a crucial and enduring question for Christians, not only in years past,but today, also. Paul Tillich is one of those Christian theologians who have seriously invested one’s life to examine the question of the relation of religion to culture. As a theologian of culture, through whole his lifetime, Tillich attempts to express the Christian message in new and insightful ways that appealed to the people in a secular world.
    According to Tillich, there are some logical distinctions between concepts that are used philosophically and those that are used theologically,even when they are the same concepts. The problem for Tillich is how to relate these two separate but admittedly similar levels of discourse. The solution he proposes is through his method which he calls the “method of correlation.” The heart of this method is the correlation of questions raised by a philosophical analysis of existence with theological answers derived from the Christian message. However, there are many criticisms about his effort. Many have accused him of allowing the questions to predetermine the answers he gives. Some, on the other hand, think that he merely forges the questions in light of answers he has already predetermined. Also some theologians indicate the fact that questions and answers are not so much distinctive each other. Although these theologians’ i n t e rpretations of Paul Tillich’s method of correlation are helpful and informative, there is a significant limitation in their interpretations.
    That is, they do not clearly see the fact that the method of correlation is not simply a method of mediating between philosophy and theology. Rather, it is a hermeneutics of culture to examine the cultural creations in which a human being expresses his or her cultural interpretation of existence. namely, the hermeneutics of theonomy.
    In order to appreciate the nature and magnitude of Paul Tillich’s method of correlation, this paper begins with an exploration of Tillich’s hermeneutics of culture, a hermeneutics of theonomy (section I I). Then, in next section, I summarize the nature of the method of correlation then, present some criticisms on it with their validity (Section I I I). Through these procedures, I argue that Paul Tillich’s method of correlation is still a valuable method, if we appreciate it in terms of his hermeneutics of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