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황 인식에 따른 스마트폰 앱 콘텐츠 추천을 위한 Z세대의 매일 앱 사용 행태 연구 (Daily Behavior of Generation Z Using a Smart Phone App for Content Recommendation based on Context Awareness)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22.02
19P 미리보기
상황 인식에 따른 스마트폰 앱 콘텐츠 추천을 위한 Z세대의 매일 앱 사용 행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5권 / 1호 / 277 ~ 295페이지
    · 저자명 : 강민정

    초록

    연구배경 다수의 스마트폰 앱 사용에 피로감을 느낀 사용자들을 위해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앱의 인터페이스를 거치치 않고 바로 홈 화면에서 관심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 행동 데이터 공유 여부가 사용자 선택으로 바뀜으로 인해 정밀한 개인화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사용자들의 공통된 행동 패턴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인 Z세대를 대상으로 상황에 맞는 콘텐츠를 추천하기 위해 하루 동안의 스마트폰 사용패턴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 연구에서 개인화 서비스 단계와 상황 인식에 필요한 정보를 고찰하고 앱 카테고리별 Z세대 사용 행태를 파악하였다. 파일럿 인터뷰를 진행하여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장소와 시간, 상황들을 밝히고 Z세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시간대에 따른 주사용 카테고리와 시간이 보이는 관련성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심층 인터뷰에서는 매일 사용하는 앱의 유스 케이스와 복합 사용 케이스들을 추출하였고 검증을 위해 Z세대들에게 2차 설문을 하여 50% 이상 긍정 응답을 받은 행동들을 파악했다.
    연구결과 Z세대의 스마트폰 매일 사용 행태는 주말과 주중이 크게 다르지 않았고, 시간대보다는 상황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주로 사용하는 장소는 대중교통, 집, 카페, 여행지, 식당, 영화관, 학교, 회사이며 주요 상황은 외출 전, 이동 중, 식사할 때, 여가 시간, 자기 전, 상시/틈틈이로 밝혀졌다. 시간대에 영향을 받는 카테고리는 엔터테인먼트와 도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2차 설문조사에서 50% 이상 긍정 응답을 받은 매일 사용 유스 케이스는 자기 전 여가 시간에 이용, 짧은 시간, 틈틈이, 무의식적, 상황에 따라 적절한 길이의 콘텐츠 선택 이용, 이동 중 실시간 위치 및 위치 관련 정보 확인, SNS 피드 확인 후 구매 또는 방문, 습관적 음악 앱 이용, 콘텐츠로 소통하고 댓글 참여, 같은 카테고리의 여러 앱 사용, 여러 앱의 조합 연계 이용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자들의 행동 데이터들을 파악하여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할 때 UX디자인에 참고할 수 있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개인 행동 데이터 공유 여부 체크가 의무화된 상황에서 Z세대들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상황에 맞게 제공하는 데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For the users who feel tired of using many smartphone apps, smartphone manufacturers provide pages that allow them to access the contents of interest directly from the smart phone home screen without going through the app interface. However, in a situation where precise personalization is difficult due to the policy change for sharing personal behavior data, it is important to identify common behavior patterns of us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find out smart phone usage patterns of a day in order to recommend content suitable for the situation of the digital native generation, Generation Z.
    Methods In the literature search, we reviewed the approach to personalization service, the information types of context awareness, and the usage behavior of Generation Z based on the app category. A pilot inter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laces, times, and situations that users mainly use smartphones. Then, a survey was conducted for Generation Z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tegories and time. In the in-depth interview, we extracted daily smart phone use cases and multitasking cases of apps that they use every day, and for verification, a second survey was conducted for Generation Z to identify the behaviors that received more than 50% positive responses.
    Results The daily smartphone usage behavior of Generation Z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weekends and weekdays. However,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ituation rather than the time of day. The most commonly used places are public transportation, home, cafe, travel destination, restaurant, movie theater, school, and company. In the categories affected by time zone, entertainment and too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aily use cases that received more than 50% positive responses in the second survey are as follows: use in leisure time before bed, use of short or appropriate length content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termittently or unconsciously, consume real-time location and location-related information while on the go, purchase or visit after checking social networking site (SNS) feeds, use habitual music app, use content to communication and write comments, use multiple apps in the same category, and combine multiple app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UX design when providing personalized information by identifying users' behavioral data. In addition, the study will be useful information for providing content suitable for Generation Z in a situation where it is mandatory to check whether personal data is sha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