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호자의 지도 방법에 따른 유아의 스마트폰과 미디어 이용 실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Smartphones and Media in Infants according to Parental Guidance Method)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23.01
15P 미리보기
보호자의 지도 방법에 따른 유아의 스마트폰과 미디어 이용 실태 연구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신뢰성
    • 전문성
    • 실용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유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실태 분석 제공
    • 👨‍👩‍👧 가족 구조와 미디어 이용 간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보여줌
    • 🔍 코로나-19 시기의 특수한 미디어 이용 패턴을 연구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 9권 / 1호 / 419 ~ 433페이지
    · 저자명 : 임규성, 고재욱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과 보호자 지도에 대한 차이를 유치원과 어린이집, 가족 보호책임 관계 간의 차이를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2020년 코로나-19 기간 동안 실시한 2020년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로 데이터 중 3-6세 유아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1]. 연구결과 첫째, 유아가 일주일 동안 가장 많이 이용한 기기에서 스마트폰은 어린이집이 더 높았으며, 태블릿과 컴퓨터는 유치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양부모 동거 여부에서는 스마트폰은 양부모 외 동거가 더 높았으며, 태블릿과 컴퓨터는 양부모 동거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을 처음 이용한 시기는 어린이집에서는 18-24개월 미만, 24-36개월 미만, 12-18개월 미만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유치원에서는 24-36개월 미만, 3-4살 미만, 4-5살 미만의 순으로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24-36개월 미만이 17.9%로 가장 많았으며, 18-24개월 미만, 3-4살 미만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주일 동안 스마트폰으로 시청한 서비스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어린이집보다 유치원에서 이용했다는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양부모가 동거하는 집단보다 양부모 외 동거 집단에서 시청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주일 동안 스마트폰 사용 용도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동영상 이용이 62.1%로 가장 많았으며, 관심/흥미 있는 주제, 게임 이용, 사진 촬영/편집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양부모 동거 집단이 시청이 더 높았다. 스마트폰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아이 방해 안 받으려고 가 24.3%로 가장 많았으며, 스트레스/기분전환, 보상, 아이가 졸라서, 새로운 정보 습득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보호자의 차이 검증 결과. 양부모가 동거하는 집단이 양부모 외 동거하는 집단보다 미디어 이용 체크하기에 대한 지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가 미디어 이용 지도/제한을 따르는 정도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어린이집보다 유치원에서 유아가 미디어 이용 지도/제한을 더 잘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부모와 동거하는 집단이 양부모 외 동거집단보다 미디어 이용 지도/제한을 더 잘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들 눈높이에 적합한 보육, 교육현장 교사용 지도서와 가정용 보호자 지도서를 재검토하여 유아기의 건전한 미디어 교육자 가이드라인 개발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유아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위한 부모-자녀 교육이 조기에 시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보호자 교육용 콘텐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가정 내 보급과 보호자의 교육이 필요하고 ‘디지털 육아’ 문화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가 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기 때문에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홍보·계몽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e data of this study were analyzed for children aged 3-6 among the data from the 2020 Children's Media Us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during the 2020 COVID-19 peri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mong the devices that children used the most during the week, smartphone showed higher in daycare, tablet and computer were higher in kindergarten. Also, in terms of whether or not both parents live together, smart phones showed higher rates of living with both parents, and tablets and computers were higher in the adoptive parents living group. Second, the smartphone usage period was found to be under 18-24 months, under 24-36 months, and under 12-18 months in daycare, but in kindergarten, under 24-36 months, under 3-4, and -45 years old.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On average, those under 24-36 months accounted for 17.9%, followed by 18-24 months and younger than 3-4 years of ag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rvices watched on smartphones for a week, the response that they used it in kindergarten was higher than in daycare. The viewing rate was higher in the group living with non-adoptive parents than in the group in which both parents lived togeth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age of smartphones for a week, video usage was the most at 62.1%, followed by topics of interest/interesting, game usage, and photo shooting/editing. Kindergarten and foster parent cohabitation groups had higher viewing rat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asons for using a smartphone, the most common reason was not to be disturbed by the child (24.3%), followed by stress/diversion, compensation, the child was drowsy, and the acquisition of new information. Fourth,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differences between parents in the use of media by infants.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both parents living together gave more guidance on media usage check than the group living with both paren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gree to which infants follow media use guidance/restriction, it was found that infants followed media use guidance/restriction better in kindergarten than in daycare center. And it was found that the group living with both parents followed the media use guidance/restriction better than the group living without both parents. We propose to develop guidelines for sound media educators in early childhood by reviewing the guides for teachers in childcare and education fields suitable for children's eye level and guides for home guardians. The ‘digital parenting’ culture requires government policy support and publicity and enlightenment because the digital native generation has low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l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