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모사(Formosa)’와 ‘대만(臺灣)’ 사이 (Between ‘Formosa’ and ‘Taiwan (臺灣)’)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20.05
26P 미리보기
‘포모사(Formosa)’와 ‘대만(臺灣)’ 사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23권 / 1호 / 369 ~ 394페이지
    · 저자명 : 정형아, 정창원

    초록

    1949년 10월 중국 대륙의 주인이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로 바뀐 후, ‘중국의 대 표자는 누구인가’라는 문제와 일본의 통치에서 해방된 대만의 귀속문제는 국제정치무대의 중 요한 이슈가 되었다. 1943년 카이로 회담에서 약속한 대로라면 대만은 당연히 중국에 반환 되어야 한다. 그런데 전후 국제 상황에 예상하지 못한 일이 발생한 것이다. 즉 두 개의 중국 이 출현한 것이다. 대륙의 중국[중화인민공화국]은 대만은 자신에게 귀속되어야 한다고 주 장한 반면, 대만의 중국[중화민국]은 카이로에서 약속한 중국은 자신들이라고 주장하였다. 이 주장은 기본적으로 대만이 중국의 것임을 전제한 것이며, 이에 대한 갑론을박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그 사이에 많은 대만인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이 중국에 있다는 견해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20세기 중반까지 대만을 지칭하며 서구사회에서 통용되던 영문명칭 Formosa가 언제부 터인가 Taiwan으로 대체되었다. 본문은 이점에 착안하여 명칭을 통해서 본 대만의 연원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는 현재 대만인 스스로 의문을 제기하는 중국과의 관계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은 적어도 400년 이상의 시간 속에 여러 외부 세력에 의해 정권이 만들어지고 문화 가 형성되었으며, 그 가운데 여러 족군이 공동체를 형성해 왔다. 그 과정에서 정치․문화적 으로 지난한 융합의 과정을 경험해 왔던 대만인들은 “나는 누구이며 여기는 어디인가?”라는 문제를 자신들만의 영역을 넘어 국제적인 문제로도 마주하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대만인들에게 그들이 어떻게 불리고 표기되느냐의 문제는 곧 그들의 정체 성을 밝히는 가장 중요한 현실적 문제이기도 하며, 어쩌면 영원히 풀기 어려운 난제가 될 것 이다. 본 연구의 서술은 기존 여러 연구 성과들을 이용한 대만의 ‘이름’에 대한 이해에서 기존연 구들이 간과한 부분들을 재고찰하고 검토하는 구조로 진행하였다. 이 글은 대만의 역사를 찾 아가는 문제의 일부분이다. 특히 이 글에서 고찰을 시도하는 ‘이름의 문제’는 현재 대만의 정체성과 중국과의 갈등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의 문제의식 또한 여기 에 존재한다.

    영어초록

    Ever since the ownership of Mainland China was shifted to the Central People’s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October, 1949, the question, ‘who is the representative of China?’ and the jurisdiction of Taiwan that was liberated from the control of Japan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arena. According to the Cairo Declaration released in 1943, Taiwan should have been returned to China, but something unexpected came up in the postwar period, that is, the coexistence of two Chinas. One China in Mainland China (People’s Republic of China) argued that Taiwan should belong to the China, while the other China in Taiwan (Republic of China) argued that the China promised by the Cairo Declaration was itself.
    The argument was basically based on the premise that Taiwan is owned by China, and they are still at odds over this. In the meantime, many Taiwanese people have raised a question about the view that their identity is tied to China.
    Formosa, the English term that had been used to refer to Taiwan until the mid-20th century, started to be replaced at some point. The origin of Taiwan was discussed based on its name in the body of this study, which is very closely related to its relationship with China that Taiwanese people themselves raise a question about today.
    Taiwan has experienced changes in government and culture caused by various external forces over the past four hundred years, and in the midst of them various ethnic groups have formed communities. In the process, Taiwanese people who had to go through a long-lasting process of convergence both politically and culturally started to view the question, ‘who am I and where am I?’ as an international issue beyond their sole issue.
    For this reason, how they were called and named is the most important and real problem to Taiwanese people to define their identity, and at the same time would always be the crux that is difficult to solve to them.
    This study reviewed and discussed things that were overlooked in earlier studie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name’ of Taiwan based on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This is a part of the issue of searching for the history of Taiwan. In particular, ‘the issue of naming’ reviewed in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identity of Taiwan and their conflicts with China. Implications of this study also exist he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