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廢假立眞’에 대한 조선후기 사대부의 비판적 인식 (Noblemen's Critical Perception of 'Pyegaipjin'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12.06
30P 미리보기
‘廢假立眞’에 대한 조선후기 사대부의 비판적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83호 / 163 ~ 192페이지
    · 저자명 : 유영옥

    초록

    18c 황윤석의 생활일기 『頤齋亂藁』와 안정복의 사찬사서 『東史綱目』은 조선 건국의 명분 가운데 하나인 ‘廢假立眞’의 논리가 당대에 점차 형해화되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이재난고』는 ‘大同之論’이라는 말로 禑王辛氏說을 비판하는 인식이 사대부의 公論으로 정착되었음을 보여주고, 『동사강목』은 조정의 분부가 없기에 폐가입진을 史法으로 아직 지키고 있지만 모든 史家들은 이미 그것이 그릇된 줄 알고 있다고 단언하였다.
    이에 본고는 16c 후반부터 폐가입진에 대한 비판이 본격적으로 제기되어 18c 후반에 거의 대세를 이루는 일련의 과정들을, 사대부 개개인의 言說과 17∼18c 私撰史書를 분석함으로써 입증하고자 노력하였다.
    본고는 그 동안 불변의 史實이던 폐가입진이 조선후기에 와서 의심과 회의, 부정과 비판으로 흔들리고 있었다는 점을 밝히는 데에 그 1차적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비판적 인식들이 운곡 원천석의 詩史와 목은 이색의 “當立前王之子”라는 답변에 근거한다는 점도 논증하였다.
    다만 그 밖에 국가의 공식 명분이던 폐가입진이 왜 이렇게 무너지게 되었는가에 대해서는 후일의 논고를 기다린다. 인식의 변화를 초래한 원인 내지 정치ㆍ사상적 배경을 규명하는 일은 보다 역동적이고 깊이 있는 천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One of the causes of Joseon's foundation was so-called 'pyegaipjin(廢假立眞)' meaning 'dethrone the fake and throne the genuine'. This logic was not accepted any more in the 18th century according to 『Yijaenango(頤齋亂藁)』 and 『Dongsagangmok(東史綱目)』 published in the same century when men of the noble class usually thought it was not logical to say the last name of Kings Woo(禑王) and Chang(昌王) was Shin. The criticism of 'pyegaipjin' began earnestly in the late 16th century and became a public opinion shared by the noblemen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widely recognized by lots of historical publications.
    Most of the noblemen who negated 'pyegaipjin' relied on Won Cheon Seok(元天錫)'s verse like an unauthorized historical episode and Lee Saek(李穡)'s assertion, that is, "it is absolutely natural for the son of the previous king to sit on the throne". Won Cheon Seok concluded that King Woo was the real son of King Gongmin(恭愍王), so it was legitimate that King Woo succeeded the previous monarch and then was succeeded by King Chang. Lee Saek emphasized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based on faith between Kings Gongmin and Woo rather than their kinship, and claimed that King Woo was naturally the son of King Gongmin as far as the latter acknowledged the former as his son.
    That 'pyegaipjin' became remarkably criticized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is partly because time passed enough to nullify controversies over the legitimacy of Joseon's foundation and partly because the logic of cause based on the Sung Confucianism became a common value shared by men of the noble cla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