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Hook Wire를 이용한 폐결절의 위치선정 및 생검 (Lung Biopsy after Localization of Pulmonary Nodules with Hook Wire)

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10.12
6P 미리보기
Hook Wire를 이용한 폐결절의 위치선정 및 생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Chest Surgery / 43권 / 6호 / 681 ~ 686페이지
    · 저자명 : 김진식, 황재준, 이송암, 이우성, 김요한, 김준석, 지현근, 이정근

    초록

    배경: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이 보편화되면서 기존의 단순흉부촬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작은 폐결절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렇게 발견된 폐결절중 크기가 작거나 폐실질 내부에 위치한 결절은육안 및 촉진으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생검을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원에서는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위치선정을 시행한 후 흉강경하 폐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10년 6월까지 31명의 환자(남자 17명, 여자 14명)에서34개의 폐결절을 대상으로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 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위치선정을 한 후,흉강경하 폐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Hook wire의 이탈 여부, 개흉술 전환 빈도, 위치선정 후 수술시작까지의 시간, 수술시간, 수술 후 합병증, 대상 병변의 조직학적 진단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34예 중 12예는 간유리 병변이었으며 22예는 고형의 폐결절이었다. 병변 크기의 중앙값은 8 mm (범위:3∼23 mm)였으며 병변 깊이의 중앙값은 12.5 mm (범위: 1∼34 mm)였다. 위치선정 후 마취 시작까지 걸린 시간의 중앙값은 86.5분(41∼473분)이었으며, 수술시간의 중앙값은 103분(25∼345분)이었다. 1예에서 wire의 흉강 내 이탈이 있었으나 성공적으로 목표 병변을 절제하였다. 4예에서 흉막유착으로 인해 개흉술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목표 병변을 찾지 못해 개흉술로 전환한 예는 없었다. 조직학적 진단에서 전이성 암이 15예로 가장 많았으며, 원발성 폐암 9예, 비특이적 염증소견 3예, 결핵성염증소견 2예, 림프절 2예, 활동성 결핵 1예, 비정형 샘 증식증 1예 및 정상폐조직 1예로 보고되었다.
    결론: 폐실질 내에 위치한 간유리 음영 및 폐결절의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을 위해 본원에서는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 Hook wire를 삽입하여 폐결절의 위치를 선정한 후 폐 생검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이 방법이 정확하면서 최소침습적이고 합병증 발생 및 진료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술기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 chest computed-tomography has become more prevalent so that it is more common to detect small sized pulmonary nodules that have not been found in previous simple chest x-ray. If those detected nodules are undersized or located in pulmonary parenchyma, it is difficult to accomplish a biopsy since it is vulnerable to explore them either grossly or digitally. Thus, in our hospital, a thoracoscopic pulmonary wedge resection was performed after locating a lesion by means of hook wire with CT-guided. Material and Method: 31 patients (17males and 14 female patients) from December in 2006 to June in 2010 became our subjects; their 34 pulmonary nodules were subjected to the thoracoscopic pulmonary wedge resection after locating a lesion by means of hook wire with CT-guided. Also we analyzed a possibility of hook wire dislocation, a frequency of conversion to open thoracotomy, time consumed to operation after location of a lesion, operation time, post operation complication, and histological diagnosis of the lesion. Result: 12 of 34 cases were ground glass lesion, whereas 22 cases of them were solitary pulmonary lesion. The median value of the lesion was 8mm in size (range: 3 to 23 mm), while the median value was 12.5 mm in depth (range: 1 to 34 mm). The median value of time consumed from location of the lesion to anesthetic induction was 86.5 minutes (41∼473 minutes); furthermore the mean value of operation time was 103 minutes (25∼345 minutes). Intrathoracic wire dislocation was found in one case, but a target lesion was successfully excised. Open thoracotomy was performed in four cases due to pleural adhesion. However, there was no case of conversion to open thoracotomy due to failure to detect a target lesion. In histological diagnosis,metastatic cancer were found in 15 cases, which were the most common, primary lung cancer were in 9 cases,non-specific inflammation were in 3 cases, tuberculosis inflammation were in 2 cases, lymph nodes were in 2 cases,active tuberculosis were in 1 case, atypical adenomatous hyperplasia was in 1 case and normal lung parenchymal finding was in 1 case, respectively. Conclusion: In our hospital, in order to accomplish a precise histological diagnosis of ground-glass lesion and pulmonary nodules in lung parenchyma, location of pulmonary nodules were exactly located with hook wire under chest computed-tomography, which was followed by lung biopsy. We concluded that this was an accurate, minimally invasive and valuable method to minimize the complications and increase of cost of medical service provi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Chest Surger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