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마트 폴의 지속가능성 분석을 위한 평가모형 연구 -서울시 동작구 차도형 스마트 폴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valuation Model for Sustainability Analysis of Smart Pole -Focusing on the Case of Road-type Smart Pole in Dongjak-gu, Seoul-)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23.09
12P 미리보기
스마트 폴의 지속가능성 분석을 위한 평가모형 연구 -서울시 동작구 차도형 스마트 폴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9권 / 3호 / 363 ~ 374페이지
    · 저자명 : 이정민, 강태임

    초록

    연구배경⋅목적 지속가능성이 사회⋅환경⋅산업⋅ 경제 부문의 균형 발전이라는 포괄적 개념으로 확대되면서 2022년 「지속가능발전기본법」이 재제정되었고, 2년마다 지표 이행도와 성과평가를 중요하게 다루고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세대를위한 가능성을 제고시키고자 실질적인 정책과 성과관리, 분석평가 등 관련 체계들이 정비⋅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2020년부터 도시인프라(신호등주, 가로⋅보안등주, CCTV지주)에 정보통신기술을 결합하여 스마트 시티를 향한 사회기반시설로 확장하고있는 스마트 폴(Smart Pole)의 지속성을 위해 유니버셜한 환경조성과 범죄예방 사회안전시설 차원에서 지속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는 평가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선행연구와 문헌 및 관련 자료 등을 통해스마트 시티에 대한 통시적인 접근과 공공의 실재적관점에서 적용환경과 수용기능에 따른 스마트 폴의유형을 재분류하고 지속가능성을 산업⋅경제적 측면의 ‘재생성과 유지관리성’, 과학⋅기술적 측면의 ‘신뢰성과 기능확장성’, 사회⋅문화적 측면의 ‘안전성과 상호작용성’, 공공⋅환경적 측면의 ‘연속성과 직관성’으로 개념화하였다. 이후 지속가능을 중심으로 전개되고있는 국내외 평가제도에서 제시하는 기준과 가이드라인 등을 클러스터링하고 유니버설디자인 및 범죄예방관련 전문가 FGI로 타당성 검증을 거쳐 평가요소와항목을 구성하였다. 연구분석⋅결과 신호 및 가로⋅보안 지주에 확대 구축중인 서울시 동작구 차도형 스마트 폴 사례를 중심으로 설정한 평가요소와 항목들을조작적으로 정의하여 평가내용을 수립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안전성과 유지관리성이 주요 평가요소로 나타났고 기능확장성⋅연속성⋅안전성⋅직관성과 유지관리성⋅재생성⋅ 신뢰성⋅상호작용성이 공통요인으로 분류되어 적용환경과 수용기능으로 명명하였다. 이후 평가요소들간의독립성 및 상보성을 고려하여 스마트 폴의 지속가능성 분석에 적합한 관계형 네트워크 평가모형으로 도식화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통합⋅관리⋅운영의 효율화를 위해 유무형 플랫폼으로 구축되고 있는 스마트폴과 관련 인프라스트럭처들의 지속가능성을 분석할수 있는 평가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후속 연구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영어초록

    Research Background-Purpose, As sustainability expanded to a comprehensive concept of balanced development in the social, environmental, industrial, and economic sectors, the Framework Act on Sustainable Development was re-established in 2022, and the implementation of indica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are important every two years. For this reason, related systems such as practical policies, performance management, and analysis and evaluation are being reorganized and develop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the possibility for future generations. This study presented an evaluation model that can analyze sustainability in terms of creating a universal environment and crime prevention social safety facilities for the sustainability of smart poles, which have been expanding into infrastructure for smart cities since 2020. Research Method, Through prior research, literature, and related data, the types of smart poles are reclassifi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environment and acceptance fun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blic and the ‘Reusability and Maintenanceability’ of sustainability in terms of industry and economy, It was conceptualized as ‘Reliability and Functional Scalability’ in terms of science and technology, ‘Safety and Interactivity’ in terms of society and culture, and ‘Continuity and Intuitiveness’ in terms of public and environmental. Since then, guidelines presented by domestic and foreign evaluation systems, which are being developed around sustainability, have been clustered, and evaluation elements and items have been organized through feasibility verification with FGI, expert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and crime prevention.
    Research Analysis and Results, The evaluation contents were established by operationally defining evaluation factors and items centered on the case of road-type smart poles in Dongjak-gu, Seoul, which are being expanded and built on signal and street and security pillar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afety and Maintenanceability were the main evaluation factors, and Functional Scalability, Continuity, Safety, Intuitiveness, Maintenanceability, Reusability,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were classified as common factors and named as application environment and acceptance functions. After that, in consideration of the independence and complementarity between the evaluation factors, it was schematized into a relational network evaluation model suitable for the sustainability analysis of smart poles. Conclus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an evaluation model that can analyze the sustainability of smart poles and related infrastructures formed as tangible and intangible platforms for the efficiency of integra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and could be used for follow-up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