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안남도 중화지역 3․1운동의 전개와 참여자 분석 (The Development of the March First Movement and Its Participants in Junghwa-gun, Pyeongannam-do)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20.04
48P 미리보기
평안남도 중화지역 3․1운동의 전개와 참여자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담론 / 94호 / 69 ~ 116페이지
    · 저자명 : 이용철

    초록

    이 글은 평안남도 중화지역 3.1운동을 검토한 것이다. 일제강점기 중화군은 대한제국기 중화군과 상원군이 합쳐진 지역으로, 북쪽으로는 대동군 및 강동군, 서쪽으로 강서군과 용강군, 동쪽과 남쪽으로 황해도에 접한 곳으로 서울과 평양의 중간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였다. 이 같은 배경에서 중화지역은 일제 강점 이전부터 각종 침탈이 중첩된 곳이며, 그로 인해 일찍이 다양한 국권회복운동이 전개되었다. 또한 중화지역에는 천도교와 기독교가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
    중화지역의 3.1운동은 3월 1일 선언서가 전파되면서 본격화되었다. 3월 1일부터 시위가 시도되었고, 3월 2일부터 운동이 시작된 것이다. 이후 중화지역의 3.1운동은 천도교와 기독교의 밀접한 협력 속에서 4월 중순까지 지속되었으며, 실제 12건가량의 운동이 제한적인 자료 속에서도 파악된다.
    중화지역 3.1운동의 배경과 전개양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이 3월 2일 시작되었다는 측면에서 대단히 일찍 발생하였다. 둘째, 운동이 4월 상순까지 이어졌으나 사실상 3월 초에 집중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지속기간이 비교적 짧았다. 셋째, 천도교 및 기독교와 밀접한 관계 속에서 운동이 촉발․전개되었다. 넷째, 대한제국기 이래 자행된 일제의 각종 침탈이 중화지역 3.1운동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었다. 다섯째, 국권회복운동이 중화지역 3.1운동의 내부적 추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여섯째, 파리강화회의에서 제창된 민족자결주의가 외부 요인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일곱째, 확인되는 수형자(受刑者)의 75% 이상이 농민이었다.
    3.1운동은 일제강점기 민족최대의 독립운동으로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를 산출해낸 주제였다. 하지만 한강 이북, 즉 북한지역의 3.1운동은 남한지역에 비해 연구가 부진했으며, 이는 본고의 주제인 평안남도 중화지역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 같은 취지에서 본 논문은 북한지역 3.1운동 사례 중 하나이자 초기 3.1운동의 전개 양상을 규명하기 위한 하나의 지역 단위 연구 사례로서 연구사적 의미를 갖는 것이다. 물론 한계도 있었다. 제1, 2심 판결문이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수형자가 확인됨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구체적인 활약상을 밝히는 데 제약이 컸다. 남북 관계가 회복되고 북한에 소장되어 있으리라 생각되는 제1, 2심 판결문이 발굴되어 공개된다면 중화지역은 물론, 지금까지 연구가 부진했던 북한지역 3.1운동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검토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the March First Movement in Junghwa-gun, Pyeongannam-do was reviewed. Junghwa-gun was formed by merging Junghwa-gun and Sangwon-gun in the Korean Empire period. This region was a transportation hub in terms of its location in the middle of Seoul and Pyeongyang and sharing borders with Daedong-gun and Gangdong-gun on the north, Gangseo-gun and Yongang-gun on the west, and Hwanghae-do on the east and south. In this setting, the Junghwa region had been plagued with multiple plunders even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us initiated various movements for the restor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early on. In addition, Cheondogyo and Christianity had been rooted in the Junghwa region since before the the March First Movement.
    Amid these related factors, the March First Movement began in earnest with the spread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n March 1, the movement’s first day. On that day, a demonstration was attempted although it did not take place. However, the movement was launched the next day, on March 2. Since then, the March First Movement in the Junghwa region had continued until mid-April in close cooperation between Cheondogyo and Christianity. Although most protests in the region were concentrated in the first part of March, the launch of about 12 protests was confirmed even through limited sources.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the March First Movement in the Junghwa region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this movement began very early in the region given its first protest staged on March 2. Second, although the movement continued until early April, its duration was relatively short because of its concentration in early March. Third, the movement was triggered and developed amid close ties between Cheondogyo and Christianity. Fourth, various plunders committed by Japan in the Korean Empire period was becoming a major cause of the March First Movement in the Junghwa region. Fifth, the movement for the restor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was acting as the region’s internal impetus for the March First Movement. Sixth, self-determination proclaimed at the Paris Peace Conference was affecting the movement as an external factor. Seventh, over 75% of confirmed prisoners in the wake of the movement were farmers.
    As the nation’s largest independence movement, the March First Movement has become the subject of numerous studies thus far. However, research on this movement north of the Han River, which is the current North Korean territory, remained inadequate, including Junghwa-gun, Pyeongannam-do.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research as a case study on the March First Movement in North Korea and a regional study to identify the March First Movement’s progress. Certainly, the study has its own limitations. Although the presence of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prisoners following the movement was confirmed, their specific activities could not be fully identified because written judgements for the first and second trials were not available for a review. The future improve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resulting discovery and release of these written judgements, which are likely owned by North Korea, will enable a more detailed examination of the March First Movement not only in the Junghwa region, but also in North Korea as a who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