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신도신학으로서 디아코니아 (Diakonia as lay Theolog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14.03
35P 미리보기
평신도신학으로서 디아코니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64호 / 155 ~ 189페이지
    · 저자명 : 백용기

    초록

    현재 우리의 그리스도교 사회봉사에 대한 신학적 논의는 미약하다. 신학 역시 신학자나 목회자의 점유물이 되었고, 평신도가 다가가기 어렵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평신도 역할은 훨씬 커지고 있다. 디아코니아는 교회의, 특히 평신도의 주요 활동이다. 이에 디아코니아를 신학적으로 정립하려는데 있어서 평신도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이제껏 평신도는 신학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한편 서구신학의 영역에서는 디아코니아 신학을 정립하는데 예수의 제자도나 기독론에 치중하여 설명을 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보안으로 성령의 이해를 바탕으로 평신도 신학을 구성해 본다.
    본 논문은 독일 개신교 사회운동의 아버지 칭호를 받는 요한 힌리히 비헤른(Johann Hinrich Wichern: 1808-1881)을 시작으로 디아코니아 신학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디아코니아는 성령의 종말론적 활동으로서 현재적으로 확증된다. 이것은 억눌리고, 소외되고, 버림받은 이들이 인간다운 삶을 찾는 일에 참여 하게한다. 평신도는 디아코니아 활동을 통해서 이 세상에 하나님 지배, 곧 사랑과 정의실현에 참여한다. 성령의 종말론적 공동체는 사랑과 정의로 실현되어지며 평신도 운동에서 드러나게 된다.

    영어초록

    Diakonia/Christian social welfare is one of the important concerns at the present time, especially to our Christianity. The debate about the welfare since the 2012 presidential election points out not only the important question from the social political aspect, but also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What is it that distinguishes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from the welfare of public institution?This article approaches the theological debate from the German point of view. Because German theology has deal with this problem for a long time and has many accomplishments for this work, after Germany provided a public welfare program. Yet our welfare system is slightly weak. Moreover the theological debate about the diakonia is weaker. Even though the layman were eliminated from the theological debate until now, from now they lead the church of 21c.
    Diakonia of the church is the central field of layman's work. So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diakonia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heology of laity. Up to this point Euro-American theology focuses on the christological view, however the article builds the diakonik on the pneumatological. The kingdom of God as the eschatological community of the future appears in the current activities. This article defines that it demonstrates as diakonia, namely the layman's activities, which directly involved in eschatological community in the horizon of the kingdom of God.
    The nature of diakonia is the wholistic activities for the kingdom of God. This is the participation in the holistic and cosmetic salvation of God. The church as the eschatological community realizes with diakonia the reign of God, agape and justice. Diakonia is the process of restoration of men's destroyed relation and the order of creation with charisma of the Holy Geist. This is regenerated and sanctified by the Holy Geist's power, namely transformed new being and new order. It is that koinonia and diakonia of the grace Christi are enlarged by laym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