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솔로몬에 대한 문화적 기억을 통한 시편 72편 연구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왕정 윤리를 중심으로- (A Study on Psalm 72 Through Cultural Memory of Solomon by Focusing on the Royal Ethics for the Poor)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21.11
28P 미리보기
솔로몬에 대한 문화적 기억을 통한 시편 72편 연구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왕정 윤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사회 / 35권 / 4호 / 39 ~ 66페이지
    · 저자명 : 조용현

    초록

    본 논문은 구약성서의 제왕시 중 하나인 시편 72편에 묘사된 솔로몬 왕권과 왕정 윤리를 문화적 기억이라는 개념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시편 72편은 다른 제왕시에 비해 특정한 왕 솔로몬과 관련지으며 그가 시행해야 할 정의와 공의에 많은 관심을 갖는다. 열왕기상 3-11장은 시편 72편의 솔로몬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평행 본문과 증거로 작용한다. 특히 공물 제도는 시편 72편과 열왕기상 3-11장에서 모두 열방을 다스리는 솔로몬의 우주적 통치를 굳건하게 하는 요소로 묘사된다. 그러나 공물 제도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시행하는 정의에 기초한 솔로몬의 통치가 아이러니하게도 다른 나라와 사람들을 착취하고 가난하게 만든 데서 비롯된다는 윤리적 모순을 첨예하게 보여준다.
    솔로몬 왕권에 대한 모순된 묘사는 열왕기상의 솔로몬 이야기를 알고 있었던 고대의 독자들이 시편 72편을 어떻게 읽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시편 72편이 왕과 관련된 전설적 요소를 함양하기 위한 예전에서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고대 이스라엘에서 솔로몬의 통치와 왕권을 이상적으로 재건하기 위한 문화적 기억으로 작용했다. 시편 72편이 정의와 공의를 시행하는 왕으로서의 솔로몬을 강조하지만, 백성과 이웃 나라를 착취하고 억압했던 그의 통치에 대해서는 침묵한다. 더욱이 시편 72편은 열왕기상의 이야기에서는 언급되지 않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왕정 윤리를 강조하면서 솔로몬 왕권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를 구축한다. 시편 72편은 또한 통일 왕국 이스라엘의 분열을 초래했던 솔로몬의 압제와 착취에 대한 반(反) 기억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시편 72편에서 솔로몬은 백성을 위해 공의와 정의를 시행했던 모범적인 왕으로, 동시에 열방을 다스리는 우주적 통치를 확립했던 하나님의 완벽한 대리자로 기억된다.

    영어초록

    By applying the concept of cultural memory to the reading of Psalm 72, this paper analyzes how it makes a complex whole through a mixture of the old and the new to reconstruct the Solomonic kingship described in 1 Kings. When compared to other royal psalms, Psalm 72 focuses more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a particular king, Solomon. The parallel between Psalm 72 and 1 Kings 3-11 reinforces the so-called Solomonization. In particular, a tributary system plays a significant role in bolstering up the universal rule over the nations both in the Solomonized psalm and 1 Kings 3-11. However, the Solomonic kingship through the tributary system gives rise to a moral contradiction between the king’s justice for the poor and his exploitation of the nations because it paradoxically identifies him as the one who protects the poor by making others poor.
    Such a contradictory description of the Solomonic kingship causes one to wonder how the psalm was read by the ancient readers who were aware of the narratives of Solomon in 1 Kings. Given that Psalm 72 was used as a royal psalm in the liturgy for cultivating royal legends, it functioned as cultural memory concerning the ideal kingship of Solomon in ancient Israel. Although Psalm 72 emphasizes justice and righteousness of the Solomonic kingship, it ignores his oppression and exploitation of people and nations. Moreover, Psalm 72 constructs the new image of the Solomonic kingship by highlighting the royal ethics for the poor that is silent in the stories of 1 Kings. Psalm 72 also serves as counter-memory against the Solomonic oppression and exploitation that resulted in the division of the kingdom of Israel. In Psalm 72, consequently, Solomon is remembered as the exemplary king who executed justice and righteousness for his people, especially the poor, and the perfect agent of God who established the universal dominion over the n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