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루터의 시편 해석 방법론 연구: 1517년 전과 후의 시편 110편 해석 비교 (A Study on Luther’s Hermeneutical Methods of the Psalter: Comparison between the pre–1517 Interpretation and post–1517 Interpretation of Psalm 110)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18.01
32P 미리보기
루터의 시편 해석 방법론 연구: 1517년 전과 후의 시편 110편 해석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107호 / 29 ~ 60페이지
    · 저자명 : 김진규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마르틴 루터의 시편 해석 방법론을 1517년 전기와 후기의 시기로 나누어 그의 해석학적 발달 과정을 조사하는 것이다. 루터는 시편을 세 번에 걸쳐 강해하였는데, 각 시기마다 선별된 텍스트의 범위가 다르고, 해석 방법이 다르고, 강해한 분량도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는 루터의 신학적 주석학적 깊이를 잘 볼 수 있는 시편 110편을 선택했다. 루터가 두 번째 시편 강해 시에는 시편 110편을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첫 번째와 세 번째 시편 해석을 비교하였다.
    루터의 첫 번째 시편 강해에는 글자와 영에 의한 이분법적 해석과 중세의 4중적 의미를 찾는 해석이 주를 이루고 있고, 특히 알레고리적 해석이 두드러진다. 기독론적 해석도 주로 알레고리적 해석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세 번째 시편 강해에는 글자와 영의 모델과 중세의 4중적 해석이거의 사라진다. 역사적 문자적 해석이 정교해진다. 모형론을 사용한 기독론적 해석, 적용을 염두에 둔 해석, 신학적 해석이 두드러진다. 신약 우선적 구약 해석은 전후 시기에 모두 나타난다. 루터가 율법과 복음이라는 새로운 이분법적 해석을 사용함으로써 해석학적 논란의 불씨를 남겼다. 그렇지만 1517년 전후의 루터의 시편 해석을 비교해보면 엄청난 변화를 초래하였다. 루터의 개혁은 구원론 중심의 개혁이었을 뿐만 아니라, 중세의 현란한 성경해석으로부터 올바른 말씀의 이해로 향하는 성경 해석의 개혁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Martin Luther’s exegetical methods of the Psalter before and after 1517. He exposited the Psalter three times(AD 1513–1515, 1519–1521, and 1530– 1535). But there are tremendous differences in his selection of the texts, his methods of interpretation, and the amount of his exposition from the first to the third period. This study looks into Ps 110 because one can relatively well observe the depth of his theology and exegesis through this psalm. Since Luther did not treat Ps 110 in the second period of his exposition of the Psalter, this study has compared his exposition of this psalm between the first and the third period.
    In his first period, Luther mainly used the letter–Spirit model and the model of the four–fold sense handed down from the Middle Ages. In particular, allegorical interpretation is the most noticeable method he used in this period. His Christological understanding is largely based on allegorical interpretation. In the third period of his exposition, however, the letter–Spirit model and the four–fold sense of the Middle Ages almost disappeared from his exegetical methods. His literal–historical interpretation sharpened during this period. Luther’s methods of interpretation are also characterized by Christological interpretation by typology, application–conscious interpretation, and theological interpretation. The interpretation of the OT by the NT authors is given priority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OT before and after 1517. During the third period, Luther’s adoption of the dualistic method of the Law–Gospel distinction later became a source of discord among the Lutherans.
    However, there is a tremendous transition in Luther’s methods of interpretation of the Psalter from the first to the third period. Luther’s reformation is not only a reformation of soteriology but also a reformation of biblical interpretation. His exegetical methods have changed from the extravagant interpretation of the Middle Ages to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Scrip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기독교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