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계도기총수록』 권상(卷上)에 내재된 편자(編者)의 의도 (Editor’s Perspective in Beopgyedogi-chongsurok Volume 1 (out of 2))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19.11
26P 미리보기
『법계도기총수록』 권상(卷上)에 내재된 편자(編者)의 의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92호 / 107 ~ 132페이지
    · 저자명 : 황서광

    초록

    『총수록』 은 통시성을 갖는 『법기』 · 『진기』 · 『대기』의 모음집으로서, 그 바탕에는 ‘편자의 의도’라는 공시성이 적극 반영되어 있다. 때로 편자의 의도는 『총수록』 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기도 한다. 『총수록』 권상의 세 주석서 주기 배열에는 두 가지 특이점이 포착되며, 이 특이점은 편자의 의도와 관련하여 중요한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첫째, 법계도 반시에 대한 과문별 주기에서 발견되는 배열의 법칙성으로서 『법기』 · 『진기』 · 『대기』의 순서이다. 이 순서는 세 주석서의 편찬 시기 순일 수 있다는 추정이다. 『법기』가 『대기』보다 편찬 시기가 빠르다는 사실이 문헌학적으로 밝혀졌고 『진기』가 『법기』 · 『대기』와 마찬가지로 신라시대의 것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 추정은 신빙성이 있다.
    둘째, 『법계도』 원문에 대한 직접적 주기라고 볼 수 없는 특정 『대기』가 4개소에 배열되어 있다. 그 내용은 각각 법계도관, 도인문의 다의석, 인의 대의, 육상 총론으로서 여타 주기들의 총론 내지 도입부 역할을 하고 있다. 이 특정 『대기』들은 과문별로 첫 배열된 『법기』 이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선행연구는 『총수록』 권상이 과문별 첫 배열 빈도가 가장 높은 『법기』가 중심이 되어 편집되었다고 추정하였다. 하지만 주기 배열의 법칙성과 특정 『대기』의 배열로 미루어 『대기』 중심의 편집이라고 추정한다.

    영어초록

    The Beopgyedogi-chongsurok (Collected Essentials of Records on the Dhārma Diagram) is a collection of the Beopgi, the Chingi, and the Daegi that have diachronic changes and the synchronic intent of editor. Occasionally editor’s perspective gives us evidence for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is book. We can find two key features in the arrangement of commentaries in Volume 1 of the Chongsurok that make it possible to deduce its editor’s perspective.
    The first feature is the rule in the arrangement of the Beopgi, the Chingi, and the Daegi at the commentaries on the Bansi (Circulated Poem Diagram); the Beopgi, the Chingi, and the Daegi can be arranged in the chronological order of their publication dates. It turned out that the Beopgi was compiled earlier than the Daegi philologically, and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Chingi was compiled in the dynasty of Silla. Therefore this assumption is highly reasonable.
    The second feature is that there are four parts of Daegi which are not commentaries on the text of the Ilseungbeopgye-do (the Single Vehicle Dhārma Realm Diagram). They play a role as their introduction parts. They have contents of the Beopgye-do view, multiple kinds of interpretation on the Bansi, the great meaning of the Doin (Dhārma Realm Diagram), and the general theory of Yuksang (six aspects of all phenomena), respectively. In light of the above facts, they are more important than those of the Beopgi which are at the first position among the commentaries of Volume 1.
    The previous studies estimated that Volume 1 was edited based on the Beopgi that appears most frequently. However, I assumed that they are edited based on the Daegi, considering the above peculiar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