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유사』 ‘기이’편 <만파식적>에 나타난 바다의 용 (The Dragon of the Sea Appeared in in Samgukyusa(三國遺事))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22.10
34P 미리보기
『삼국유사』 ‘기이’편 &lt;만파식적&gt;에 나타난 바다의 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해항도시문화교섭학 / 27호 / 83 ~ 116페이지
    · 저자명 : 변지선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삼국유사』 ‘기이(奇異)’ 편 <만파식적>에 나타나는 바다의 용의 양상과 역할을 고찰하는 것이다.
    <만파식적>에 등장하는 바다의 용은 ‘바다에서 신라를 지키는 용’, ‘바다에서 온 사자로서의 용’, ‘바다에서 제작된 옥대인 용’으로 나타났다.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은 유언대로 동해의 용이 되어 신라를 지켰다. 또한, 문무왕은 사자인 용을 신문왕에게 보내어 흑옥대와 대나무를 전달했다. 문무왕은 유언대로 죽어서 동해의 용이 되어 신라를 지켰다. 문무왕의 사자인 용은 신문왕과 함께 앉아 대나무의 갈라짐과 나라를 다스리는 이치에 대해 이야기했다. 문무왕과 김춘추의 선물인 흑옥대는 그 자체로 용이었다.
    <만파식적>에 등장하는 ‘바다의 용’은 원래 바다에 존재하고 있으면서 끊임없이 육지 즉, 신라와 관계를 맺고 있다. 문무왕의 환생인 용은 호국해룡으로서 동해의 대왕암(문무대왕릉)에 존재하면서 사자를 감은사 바닷가로 보내 신문왕과 나라를 다스리는 이치를 전했고 감은사와 연결된 수로를 통해 감은사의 금당에서 불법을 듣기도 했다. 사자인 용은 문무대왕릉과 감은사 사이에 존재하면서 문무왕의 가르침을 전했다. 바다에서 만들어져 신문왕에게 전해진 흑옥대는 그 자체로 살아있는 용이면서 신문왕의 허리에 착용되어 신성한 왕권을 눈앞에 보여주었다.
    이처럼 <만파식적>에 등장하는 용은 바다와 육지의 경계를 넘는 용이며 세상을 다스리는 이치를 알려주는 용이고 신성한 왕권을 상징하고 눈앞에 보여주는 용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삼국유사” ‘기이’편 <만파식적>에 등장하는 ‘바다의 용’에 대해 고찰했다. 이를 확장하여 『삼국유사』 ‘기이’편의 여러 이야기에 등장하는 ‘바다의 용’에 대해 고찰한다면 신라인의 바다의 용에 대한 인식과 신라인에게 바다의 의미는 어떠했는지를 종합적으로 종합적으로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d on the documents that is concerned with sea’s dragon, the chapter ‘Kiyi(紀異)’ -<Manpasikjeok(萬波息笛)>in Samgukyusa(三國遺事).
    The dragons of sea’s dragon in <Manpasikjeok> appeared as ‘a dragon that protects Silla from the sea’, ‘a dragon as a messenger from the sea’, and ‘a dragon made in the sea. King Munmu, who unified the three kingdoms, became a dragon of the East Sea(nearby Silla) and protected Silla according to his will. In addition, King Munmu sent a messnger, a dragon, to King Sinmun to deliver black jade and bamboo. King Munmu died according to his will and became a dragon of the East Sea to protect Silla. The dragon, the messenger of King Munmu, sat with King Sinmun and talked about the means of bamboo and the principles of governing the country. The Black jade belt, a gift from King Munmu and Kim Chun-chu. That consisted of several dragons.
    The ‘dragon of the sea’ appearing in <Manpasikjeok> originally exists in the sea and is constantly in a relationship with the people live in Slla, that is, Silla. The dragon, the reincarnation of King Munmu, existed in Daewangam (the tomb of King Munmu) in the East Sea as a sea dragon, and sent messengers to the seaside of Gaunsa to convey the principles of governing the country with King Sinmun. The messenger is the dragon, was present between the tomb of King Munmu and Gaunsa Temple and conveyed the teachings of King Munmu. The black jade belt, which was made in the sea and passed on to King Sinmun, is itself a living dragon and was worn on the waist of King Sinmun, demonstrating the divine power of the king.
    As such, the dragon appearing in <Manpasikjeok> can be said to be a dragon that crosses the boundary between the sea and the land, a dragon that informs the laws of governing the world, and a dragon that symbolizes and shows the divine power.
    If we consider the ‘dragon of the sea’ appearing in the various stories in the “Samguk Yusa” and ‘KIii’ section, we can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dragon of the sea’ appearing in the ‘Kiyi(紀異)’ section of Samgukyusa(三國遺事). In addition, by making games based on the contents of <Manpasikjeok>, it will be possible to be reborn as a living story by realizing the space and ‘dragon of the sea’ in the ‘Metave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항도시문화교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