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공식 팬 메이드 굿즈 소비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onsumption Experiences of Fan-made Merchandise)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25.06
18P 미리보기
비공식 팬 메이드 굿즈 소비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19권 / 3호 / 17 ~ 34페이지
    · 저자명 : 박소혜, 박지현

    초록

    디지털 환경의 발전으로 K-pop을 비롯한 한류 콘텐츠의 글로벌 확산이 가속화되면서 팬덤 문화와 관련 시장도 성장하고 있다. 특히, 팬들이 직접 제작하는 비공식 팬 메이드 굿즈는 창의적 문화 소비의 한 형태로 주목받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비공식 팬 메이드 굿즈 소비경험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탐구하여 그 본질적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비공식 팬 메이드 굿즈 소비 경험이 있는 팬 12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구조화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굿즈 자체의 매력과 팬 활동에 깊이 몰입하기 위해 비공식 팬 메이드 굿즈를 소비하고 있었으며, 이는 정서적 유대감과 팬덤 내 소속감을 강화하고 팬 활동을 확장시켰다. 그리고 이러한 소비활동 과정에서 온라인 중심의 유통 구조로 인해 심리적 불안감 등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고 문제점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팬 메이드 굿즈가 단순한 상품을 넘어 창의적 실천과 사회적 관계 형성의 매개체로 작용함을 밝힘으로써 팬덤 연구의 확장에 기여하였다. 또한, 팬들의 소비 경험에 대한 분석을 통해 관련 기업의 팬덤 이해를 돕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어초록

    With the global spread of Korean Wave content, such as K-pop, driven by digital advancements, fandom culture and its related markets have continued to expand. Among these, fan-made merchandise - created by fans themselves - has emerged as a unique form of creative cultural consumption. Despite its significance, research on the consumption of fan-made merchandise has remained limited. This study adopts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o explore the consumption experiences of fan-made merchandise, aiming to uncover its essential meaning. For this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fans who have experience purchasing and using informal fan-made merchandis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categorizing participants' experiences into meaning uni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fans consume fan-made merchandise not only for the intrinsic appeal of the products but also to deepen their engagement in fan activities, thereby strengthening their emotional bonds and sense of belonging within the fandom. Furthermore, the study reveals that fans experience a range of emotions, including mixed emotions, due to the predominantly online-driven distribution system and its inherent limita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fandom research by demonstrating that fan-made merchandise serves as more than just a commodity; it functions as a medium for creative expression and social connection. Additionally, by analyzing fans' consumption experiences, the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industry stakeholders, helping them better understand fandom culture and consumer behavi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