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소설의 패러디 양상 연구 - 박완서의 〈엄마의 말뚝 1>과 김애란의 〈큐티클>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aspect of Parody shown in modern novel - Centering of “Mother’s Pile 1” by Park Wan-seo and “Cuticle” by Kim Ae-ran -)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4.12
31P 미리보기
현대소설의 패러디 양상 연구 - 박완서의 〈엄마의 말뚝 1>과 김애란의 〈큐티클>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돈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돈암어문학 / 27권 / 253 ~ 283페이지
    · 저자명 : 방금단

    초록

    패러디(Parody)는 본래 특정 작품의 어떤 특징적인 부분을 복제하여 익살스럽게 표현하는 풍자적 모방의 문학 양식이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문학이나 대중문화에서 패러디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감에 따라 ‘희화되지는 않았지만 상호텍스트적이고, 메타픽션적이며, 비평적인 변형의 기법’을 패러디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페러디 텍스트는 작가의 의도적 글쓰기 전략에 의해 만들어진 결과물이다. 작가는 당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체제에 대한 자신의 특정 신념과 이데올로기를 언어적으로 실천하는데 있어서, 이미 잘 알려진 원텍스트를 기반으로 페러디 텍스트의 내용을 재창조한다.
    박완서의 <엄마의 말뚝1>(1980)은 원텍스트이고, 김애란의 <큐티클>(2009)을 페러디 텍스트이다. 이 두 텍스트는 ‘서울에 정착하기’라는 주제의식을 중심으로 <엄마의 말뚝1>은 식민지시대의 서울의 일상을, <큐티클>은 지금 이곳, 서울의 자본주의에 노출된 일상을 다루고 있다. 두 텍스트는 1인칭 시점을 사용하여 ‘나’라는 사람이 시골을 떠나 도시 속에 정착해 나가는 과정을 회상에 의해 보여준다. <엄마의 말뚝1>에서는 8살의 ‘나’가 40여 전에 시작했던 서울생활을 대과거의 회상 형식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큐티클>에서는 28살의 ‘나’가 지금 살아가고 있는 서울의 하루를 회상을 통해 서술하고 있다.
    페러디 텍스트인 <큐티클>은 <엄마의 말뚝1>의 모티프에서 보이는 세 가지 관점을 잘 반영해서 재창조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시대적 배경에 따라서 ‘신여성’과 ‘현대여성’으로 성공해야한다는 ‘나’의 부담감, 도시라는 공간 속에서 이중적인 모순을 드러내는 내면의식 그리고 일상에서의 소비문화의 재현으로 드러난다. 페러디 텍스트는 원텍스트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모티프의 세 가지 관점을 동일성과 차이를 드러내며 재창조 된다. 그러면서도 원텍스트와 페러디 텍스트에는 현실의 개입에 따른 ‘자기반영성’의 문제가, 텍스트에 따라 미학적으로 각각의 특징과 뚜렷한 개성으로 잘 형상화되어 있다.

    영어초록

    In principle, parody means a type of literature to express jocularly any particular part of a fixed text (work) with its satirical imitation, but today becomes a “typical technique of transformation” which is not only co-textual, and meta-fiction but critical, even though it is not picturized yet because it trends to get much more weight in the literature and mass-culture in these daysSo, parody text can be called as writer’s intentional result made by his own writing strategy.
    In writer’s attempt to practice linguistically his particular faith and ideology at that time’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he/she tries to recreate the contents of the parody text by basing original text already known very well.
    So to speak, “mother’s pile 1”(1980) by Park Wan-seo is regarded as original text, while “the cuticle (2009) by Kim Ae-ran as parody text. These two text, of whichthe main theme is to reach the successful residence in Seoul, are handling daily life in Seoul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in “mother’s pile 1” and just this place and time’s daily Seoul’s aspect completely disclosed to the capitalism in “the Cuticle’Two texts show the real process of residence that the first person “I” is gradually accustomed to the urban city’s life, after leaving from rural country, through his/her reminiscence by using the 1st person.
    The “mother’s pile 1” shows his/her life in Seoul through recollection format by the past perfect tense which 8 years’ old ‘I” began 40 years ago, while “the cuticle” is describing Seoul’s daily life through reminiscence which 28 years old’s “I” am living now. “The Cuticle”, the parody text is recreated very well by reflecting 3 types of view points skillfully shown in the motive of “mother’s pile 1”.
    They are responsibility for the success as “new woman” and “modernized woman” according to that time’s background, the inner consciousness on the settlement and escape of “I”’s being to reveal double faced contradiction in the space of city, and re-exhibition of daily consumption culture. The parody text has trend to be recreated by disclosing coidentity and difference of the above 3 points regarding the motive between itself and original text.
    Furthermore, it is concluded that the original text and parody text shows the reflection by itself, which is accorded with the interference by present is apparently formed with each aesthetic characteristic and distinct personality in accordance with the 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돈암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