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녹패의 제도와 양식 (Nokpae(祿牌) institutions and forms of the Joseon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5.02
33P 미리보기
조선시대 녹패의 제도와 양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46권 / 57 ~ 89페이지
    · 저자명 : 임영현

    초록

    본 연구는 조선시대 祿牌 제도와 양식에 대한 연구이다. 녹패는 공문서로서 문무관원의 녹봉 수령 자격을 증명하며, 祿官이 녹봉을 수령할 때 證憑 문서로 활용된다. 그리고 녹봉을 수령하였다는 녹봉 수령증인 頒祿 籤紙가 첨부된 복합적인 성격의 문서이다. 현재까지 녹패 연구는 녹패 양식을 밝히는 데 집중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녹패의 발급 절차와 발급 대상에 따른 녹패의 크기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통하여 녹패를 접하는 연구자들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우선 조선시대 녹패의 발급 대상과 절차에 대한 규명과 반록 절차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녹패 양식 검토와 함께 시대 및 관청에 따라 달라지는 祿科 표기·발급 관원·인장·외면 표기를 검토하였으며, 아울러 녹패가 크기를 달리하는 기준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조선시대 녹패 발급 대상은 녹관에 임명된 관원으로 한정되며, 발급 기관은 三司→司評府→吏曹로 변경되었는데, 1466년(世祖 12) 전교 이후 이조와 兵曹에서 文官과 武官의 녹패 발급을 각각 담당하였다. 반록 절차는 반록 시 지참해야하는 문서에 따라 『大典通編』 시행 전후로 나누어 고찰해 볼 수 있다. 『대전통편』 시행 이전에 녹관이 녹봉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告身·녹패·給祿所志를 지참했으며, 『대전통편』 시행 이후에는 고신과 녹패만으로 녹봉을 수령할 수 있었다.
    조선 초기에 발급된 녹패 양식은 고려시대의 것을 따랐는데, 『經國大典』에서 녹패식이 법제화되기 이전까지 始面·녹과 표기·인장에서 변화가 있었다. 그리고 『경국대전』에서 녹패식이 법제화된 이후 조선시대 녹패는 『경국대전』 녹패식을 준행하였으며, 법제화된 이후 녹과 표기·인장·발급 관원·外面 表記에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관직의 정3품 당상관 이상과 정3품 당하관 이하의 녹패는 크기를 달리하여 발급되었다. 당상관 녹패는 세로×가로의 평균 길이가 112.4×79.2cm이며, 당하관 녹패는 45.5×14.4cm로 당상관의 녹패가 당하관에 비하여 큰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종친을 제외하고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관직의 정3품 당상관과 당하관을 기준으로 크기를 달리하여 발급된 것을 알 수 있다. 당하관 녹패에 한하여 18세기 후반부터 木版式 녹패가 등장하였으며, 이조와 병조는 版에 새기는 부분이 달랐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tudy on Nokpae institutions and form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Nokpae is an official document and proves the qualification for Nokbong receipt of Moongwan(文官) and Moogwan(武官) and is used as documentary evidence when Nokgwan(祿官) receives Nokbong(祿俸). And it is a document of complex nature and Bannok-chemji(頒祿 籤紙), a Nokbong receipt indicating that Nokbong was received is attached to it.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researchers encountering Nokpae through more in-depth research on the size of Nokpae depending on the procedure of issuance and target of issuance of Nokpae.
    As the procedure of the study, the target and procedure of issuance of Nokpa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ere identified and then, Bannok procedures were examined. And with the review of Nokpae form, Nokgwa-pyogi·issuing Gwanwon·Seal·Oemyeon-pyogi that vary depending on times and Gwancheng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standards of varying the size of Nokpae were identified.
    The target of Nokpae issuanc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s limited to Gwanwon appointed as Nokgwan and the issuing agency was changed from Samsa→Sapyeongbu→Ijo and after 1466 (12th year during the reign of Sejo), Ijo and Byeongjo were responsible for issuing Nokpae of Moongwan and Moogwan, respectively. Depending on documents that one must carry during Bannok, Bannok procedures can be reviewed by dividing them into before and after enforcing 『Daejeontongpyeon(大典通編)』. Prior to enforcement, Nokgwan brought Gosin·Nokpae·Geupnok-soji to receive Nokbong and could receive Nokbong only with Gosin and Nokpae after enforcing 『Daejeontongpyeon』.
    Up until Nokpaesik was legislated in 『Gyeonggukdaejeon(經國大典)』, Nokpae form was changed in Simyeon·Nokgwa-pyogi·seal. And according to 『Gyeonggukdaejeon』, Nokpa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observed 『Gyeonggukdaejeon』 Nokpaesik after Nokpaesik was legislated and the change can be identified in Nokgwa-pyogi·seal· issuing Gwanwon·Oemyeon-pyogi after legislation.
    Nokpae of Jeongsampoom-Dangsanggwan or higher and Jeongsampoom-Danghagwan or lower of Gwanjik was issued in different sizes. The average length of length×breath of Dangsanggwan Nokpae is 112.4×79.2cm and that of Danghagwan Nokpae is 45.5×14.4cm, showing that Nokpae of Dangsanggwan is bigger than that of Danghagwan. And except for the royal family, it was issued in different sizes based on Jeongsampoom-Dangsanggwan and Danghagwan of Gwanjik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Finally, only in the case of Danghagwan Nokpae, Mokpansik(木板式) Nokpae appeared from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part carved in Pan(板) was different in the case of Ijo and Byeongj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