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음악콘텐츠의 디지털화에 따른 팝음악의 라우드니스와 다이내믹 레인지 변화에 관한 실증연구-1965년에서 2020년 빌보드 No.1 싱글 음원의 LUFS, PLR, LRA의 변화 추이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Changes in Loudness and Dynamic Range of Pop Music According to Digitalization of Music Content: Focusing on the Change of LUFS, PLR, and LRA of the Billboard No.1 Single fro)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21.03
26P 미리보기
음악콘텐츠의 디지털화에 따른 팝음악의 라우드니스와 다이내믹 레인지 변화에 관한 실증연구-1965년에서 2020년 빌보드 No.1 싱글 음원의 LUFS, PLR, LRA의 변화 추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3권 / 3호 / 71 ~ 96페이지
    · 저자명 : 최성락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방송 및 음반 산업에서 디지털 콘텐츠 유통 환경에 적합한 오디오 마스터 표준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라우드니스(Loudness)에 대한 개념 및 필요성을 고찰하고 이러한 개념이1990년대 이후 음반 산업의 큰 이슈였던 라우드니스 전쟁(Loudness War)이라 불리는 음압경쟁현상 속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적용되고 있는지 고찰해보며, 음반 산업의 초기부터 최근까지 발표된 팝 음악의 라우드니스 및 다이내믹 레인지에 대한 장르/연대별 추이를 실증적으로 고찰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65년부터 2020년까지 빌보드 연말차트(Billboard Year-End Chart)의 No.1 싱글곡을 대상으로 미국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애플뮤직(Apple Music)에서 해당 음원을 추출하여Integrated LUFS, True Peak, LRA(Loudness Range), 순간 최대 라우드니스(Maximum Momen tary LUFS) 등의 변수를 스펙트럼 분석기 Insight 2.0로 측정하였으며 해당 측정값들의 연대별시계열 분석, 장르/연대별 분산분석, 장르 간 차이분석(t-test), 연대 간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시계열 분석 결과, 분석대상 음악의 라우드니스 레벨(LUFS)은 1980~90년대에 비하여 최근평균 30%정도 상승하였고 PLR값으로 측정한 라우드니스의 다이내믹 레인지 또한 25%이상 증가하였다. 그리고 LRA값은 2000년대까지 작아지다가 2010년대 이후 30% 커지면서 라우드니스관점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산분석 결과, 1980년대 이후 LUFS(Int.) 및 PLR의 분산 값이 지속적으로 작아지면서 음악라우드니스의 획일화 현상이 나타났으며 Pop장르의 경우 2010년 이후 라우드니스 분산 값 이다시 커지면서 라우드니스 획일화 정도가 완화되고 있다.
    장르 간 차이분석 결과, LRA값을 제외한 나머지 라우드니스 관련 변수들에서 분석대상 두 장르간 차이가 없고 전체적으로 비슷한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대 간 차이분석 결과LUFS(Int.), True Peak, PLR, Max. Momentary LUFS 값이 연대별로 유의미하게 달라진 것으로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loudness, which has recently begun to be used as an audio mastering standard suitable for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in the broadcasting and music industry. The increasing loudness of music tracks has been a major issue in the music industry since the 1990s. This study also examines how it is applied during the sound pressure competition phenomenon called the “Loudness War.”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trends of loudness and dynamic range of pop music by genre/age released from the beginning of the record industry to the latest.
    To this end, the list of No. 1 single song on the Billboard Year-End chart from 1965 to 2020 was considered,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was extracted from Apple Music, an American music streaming service, and variables such as integrated LUFS, True Peak, LRA (Loudness Range), and Maximum Momentary LUFS were measured with a spectrum analyzer, “Insight 2.0.” Additionally, the time series analysis by age, variance by genre/age, t-test between genres, and analysis of variance between decade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time series analysis, it was observed that the loudness level (LUFS) of the music has recently increased by an average of 30% as compared to the 1980s and 1990s, and that the dynamic range of the loudness measured by the PLR value has also increased by more than 25%. Additionally, as the LRA value decreased until the 2000s and increased by 30% after the 2010s, it was found that the dynamic range in terms of loudness is expand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variance, since the 1980s, the continuous decrease in the variance values of integrated LUFS and PLR have led to rise in the uniformity of the music.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genr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enres that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other loudness-related variables except for the LRA value, and the overall trend was similar. It was found to have changed significan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