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현대미술에서 매체의 확장을 불러온 판화의 현대성 연구: 1960-70년대 실험적 현대판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temporaneity of Printmaking Contributed to Expansion of Media in Contemporary Korean Art: Focus on Experimental Contemporary Printmaking in 1960-70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4.12
20P 미리보기
한국 현대미술에서 매체의 확장을 불러온 판화의 현대성 연구: 1960-70년대 실험적 현대판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보 / 43호 / 181 ~ 200페이지
    · 저자명 : 송대섭, 안소연

    초록

    본 논문에서는 판화에 대한 비평적 담론의 한계를 인식하고, 한국 현대미술에서 매체의 확장에 기여해 온 현대판화의 실험적 특성을 다루어 보고자 했다. 판화라는 매체가 가진 본래의 아방가르드적 특성을 현대미술의탈모던 혹은 반미학적 의식의 전환 속에서 살펴보고, 그러한 논의를 확장해 1960-70년대 국내외의 급진적인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흐름 속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차후 동시대 미술 현장에서 매체의 확장에 어떻게기여했는가를 진단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특히 1950년대 현대판화의 도입 이후, 1960-70년대 전위적인 아방가르드 미술이 실천되었던 현장에서 판화 매체의 실험적 가치와 의의를 강조하려는 것이다.
    국내에서 현대판화의 역사는 일반적으로 이항성에 의해 ‘한국판화협회’가 창립됐던 해인 1958년을 기점으로삼는다. 196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 실험적인 경향의 미술을 표방하는 그룹들이 한국 화단에 연이어 등장했는데,국내 화단에 일어났던 실험적인 태도는 표면적으로 보더라도 매체의 다양성을 불러왔고, 판화가 함의하고 있는판법, 즉 복제와 복수성, 재생산 등의 개념들이 현대미술의 전위성을 드러내는 데 동원됐다. 그것은 단지 판화가들에 의한 장르 내에서의 실험을 넘어서서, 1960-70년대 한국의 실험미술의 현장에서 일어난 다양한 매체의 혼용을 통한 현대적 자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적 변혁과 새로움을 지향하는 아방가르드 작가들에 의한 한국의 실험적인 미술이 다양한 방법과 매체를 이용해 등장하면서 판화 또한 일련의 중요한 매체로 다뤄지기 시작했다. 소위 전위적인 젊은 세대의 작가들이 아카데믹한 매체에 얽매이지 않고 서구의 포스트모더니즘 패러다임을 수용하면서 보다 확장된 시각예술의 흐름을 주도했다. 1960-70년대의 한국 아방가르드 미술의 현장에서 매체의 다변화와 확장에 기여한 작가들은 판화 매체를 현대미술의 동시대 언어로 소화하면서 “매체로서의 판화”를 깊이 인식했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판화 매체가 한국 아방가르드 미술의 의미와 가치를 파악하는 데 매우중요한 이슈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recognize limitations of critical discourse on prints and treatexperimental characteristics of modern & contemporary prints which has contributed to expansion ofmedia in Korean contemporary arts. It intended to examine original avant-garde characteristics of themedia, printmaking, in the changes of modern art's post-modern or anti-aesthetic awareness, and byexpanding the discussion, diagnose which roles were played in the stream of domestic/overseas radicalpostmodernism art in the 1960-70s and how it contributed to expansion of media in following artistic fieldof the contemporary. This research especially intends to emphasize experimental value and significance ofprintmaking media in actual field radical avant-garde art was practiced in the 1960-70s after modern printswas introduced in the 1950s.
    In Korea,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prints is generally 1958 when Lee, Hang-sung established'Korea printmaking Association'. In the late 1960s, groups who claim to advocate the art of experimentaltendency were continuously appeared in Korean painting field. The experimental attitude of domesticpainting field superficially brought diversity of media and concepts of printmaking techniques, such asduplication, plurality, reproduction, etc. were mobilized to show the avant-garde of modern art. It can bemodern consciousness by combination of various media in Korean experiment art of the 1960-70s, beyondthe experiment in the genre by printmaking artists. While Korean experimental art of avant-garde artistsaiming for historic revolution and newness is appeared by various methods and media, prints also started tobe treated as a chain of important media. Avant-garde artists of young generation accepted postmodernismparadigm of the West without sticking at academic media and led more expanded stream of visual arts. While artists contributing to diversification and expansion of media in Korean avant-garde art of the 1960-70s accepted printmaking media as modern art's language of the same period, they perceived “printmakingas a medium” deeply. In this sense, this research emphasizes that printing media can be very important issue to grasp meaning and value of Korean avant-garde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