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소리의 ‘이면’의 언어 심리적 고찰 - <춘향가>의 창자―관중 사이의 지향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nsori Based on the Psychology of Language - Focusing on Directivity between the Performer and the audience of ‘ChunHyang-g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8.06
26P 미리보기
판소리의 ‘이면’의 언어 심리적 고찰 - &lt;춘향가&gt;의 창자―관중 사이의 지향성을 중심으로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전문성
    • 논리성
    • 명확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판소리의 독특한 언어 심리적 접근 방식 제시
    • 🧠 창자와 관중 사이의 심리적 상호작용 분석
    • 🌟 한국 전통 공연예술의 깊이 있는 문화적 해석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0권 / 3호 / 149 ~ 174페이지
    · 저자명 : 오한승

    초록

    본고에서는 판소리에서의 ‘이면’이라는 개념을 다양한 방법론으로 연구하고 있는 경향의 하나로서, 판소리 <춘향가>의 어사또 장모 상봉 대목에서의 화행(speech-act)을 우선 설(J. Searle)의 화행론, 특히 지향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일상 언어가 아닌 창(唱)의 노랫말에서 어떻게 새로운 의미를 생성시키는지를 언어/심리철학의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특히 음악의 멜로디가 화음을 배경으로 활용되는 다른 음악극과는 달리 언어, 멜로디, 리듬이 중심이 되는 판소리만의 독특한 의미 생성 과정을 ‘이면’의 생성 과정이라고 보았다. 특히 판소리에서의 종합적 이면에 대해서 노래, 춤, 연기 등 다양한 언어적, 비-언어적 연행 요소들이 혼재되어 개념적으로 정의내리는 것은 쉽지 않으나, 본고의 논의를 통해 언어의 심리적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이면이 가능함을 살펴보았다. 판소리 창자가 관객과 근경에서 교류하며 이면을 그리는 방식은, 첫째로 판소리 관중을 심리적으로 조종하여 상상의 세계로부터 관중의 마음의 방향으로 부합시키는 방향의 지향성을 만들어내는 것이 그것이다. 그리고 둘째로는 관중의 무의식 속에 선지향적 배경(background)으로 존재하는 표상을 세계 쪽으로 부합시켜 이끌어내는 지향성을 만들어내는 것이 그것이다.
    판소리가 유동적인 적층문학이자 공연예술이라는 점, 창자 개인이 개별적으로 전수받으며 텍스트를 변형시킨다는 점, 그리고 관중과 활발하게 교감한다는 점 등과 함께 ‘종합예술로서의 이면’이라는 폭넓은 관점은 한국 전통 공연예술만의 개념이 아니라 동아시아권에 유사하게 드러나는 것이라는 반론도 향후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언어와 문화의 정체성, 그리고 한국 문화 고유의 예술적 언어 활용 양상을 조명하여 이면을 연구하는 것은 이면 개념의 확립과 논쟁의 불식, 그리고 한국 고유의 정서적·심리적 언어 활용의 특징을 드러내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고의 논의를 계기로 향후 판소리 공연 텍스트의 이면을 다양한 방법론으로 접근하고 분석하는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other methodology to analyze Korean traditional Pansori text and the term ‘Yimeon(the inside)’. Speech-act theory by J. Searle was brought to analyze the conversations of ‘Chunhyang-ga’ with the perspective of directivity, for these conversations are delivered through singing, not through the casual dialogue. With this process, another ‘inside’ meaning could be created in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of language and mind. This may be possible for the reason that Pansori combines just narrative singing and rhythms played by a traditional drum. Pansori actors sing, act, dance using both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and for this reason, it has been considered very difficult to analyze the whole aesthetic aspects. However, it is possible with a closer look on the written speech that speech-act could be penetrating the outside meaning and the inside meaning together with the theory of directivity. Pansori actor controls the audiences psychologically and causes imaginary visions on their minds, which drives directivity from the imaginary world toward their minds. Another directivity could occur from subconscious, pre-intentional representations of the audiences toward the present world.
    Pansori is oral literature and it laminated and modified through the ages, and even the actors keep improvising during their performances creating diverse meanings communicating with their audiences. Some may point out that this feature is widely seen throughout the whole eastern Asia, but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should be considered to understand this unique way of emotional expressions. the ‘inside’ meaning of Pansori should be studied more with this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methodology to make this performative genre universally understo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