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소리 <적벽가> 조조의 형상적 특징과 의미 (A Study on Jojo Image Represented in Pansori “Jeokbyeokga” and its Theatrical Meaning)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5.07
26P 미리보기
판소리 &lt;적벽가&gt; 조조의 형상적 특징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47호 / 7 ~ 32페이지
    · 저자명 : 김기형

    초록

    이 논문은 판소리 <적벽가>에 등장하는 조조의 형상적 특징을 살펴보고, 판소리 공연문법의 측면에서 그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그리고 조조의 영웅적 면모에 주목하여 이를 재해석하려고 한 보성소리 <적벽가>와 몇몇 창극 작품에 대해서도 고찰했다.
    <삼국연의>에 기반을 두었으면서도 자국화 과정에서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한 판소리 <적벽가>에서, 조조는 <삼국연의>에서의 그것과는 다른 형상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동편제 바디를 비롯한 대부분의 <적벽가>에서 조조는 악인형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판소리에서 악인형 인물은 공분을 불러일으키는 존재로 그려지는 데서 끝나지 않고, 어느 정도의 리얼리티를 지니고 있으면서 골계미를 창출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적벽가>의 조조도 예외는 아니다. 높은 지위에 있으면서도 경박하고 패악스러운 성품의 소유자인 조조는, 전장에서 패한 후 일개 범부로 전락하고 만다. 적벽화전 이후 화용도로 패주하는 과정에서 조조는 철저히 골계화 된다. <적벽가>에서 보이는 조조의 이러한 형상적 특징은 <흥보가>나 <심청가> 등에서도 보이는 판소리의 공연문법과 맞닿아 있다. 작품의 전반부와 후반부가 ‘비장-골계’의 구조로 짜여져 있는바, <적벽가> 또한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중심에 조조가 있다. 조조는 악인형 인물로서 철저히 희화화 되고 골계화 되지만, 한편으로는 군사들의 원한을 보듬는 인간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조조가 악인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그의 행동 양태에서 비롯된 골계는 해학적 웃음의 성격이 강하다.
    보성소리 <적벽가>에서는 조조의 영웅성을 어느 정도 존중하여 이를 작품에 반영하고자 했다. 근래에 국립창극단에서 공연한 창극 <적벽가>에서도 보성소리 <적벽가>의 그러한 관점을 수용하여 조조를 당당하게 형상화 하는 연출력을 보여준 바 있다. 보성소리가 추구하는 판소리 미학은 20세기 이후에 정립된 것으로, 보성소리 <적벽가>에서 보이는 조조에 대한 해석 시각은 전통 판소리에서 보이는 세계관이나 미학의 관점과는 거리가 있다. 창극 <적벽가>와 창작 작품 <난세 영웅 조조>에서 조조를 영웅적으로 형상화 한 시도도 있었던바, 조조가 지니고 있는 다면적 이미지에 비추어 볼 때 충분히 근거 있는 해석 시각이다. 다만 판소리 <적벽가>가 보여준 미학적 성취와 비교해 볼 때, 이들 작품의 의의를 어느 정도 인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있다. 결국 이는 작품의 완성도 면에서 판단할 문제라고 보며, 그런 점에서 조조는 다양한 해석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열려 있는 존재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look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Jojo imagery shaped in pansori “Jeokbyeokga”, and examines their meaning in terms of the typical traditions of pansori performance. This paper also studies Bosung style pansori “Jeokbyeokga” and a few newly created works of changgeuk opera in which the heroic image of Jojo is displayed.
    Based on the Chinese classical novel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Jeokbyeokga” successfully constructed its own unique style through the process of Korean localization. In “Jeokbyeokga”, Jojo shows his distinctive characteristic, different from that depicted in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Most of the different versions of “Jeokbyeokga”, including Dongpyeonje style badi(바디), usually portray him as a cruel villain Villains in pansori not only arouse indignation, but create satire and humor, or Golgyemi(골계미 comic beauty) while delivering reality to some degree. This typical characteristic of villains also applies to Jojo represented in “Jeokbyeokga”. Although he is in a high position, Jojo is frivolous and wicked, and finally reduced to a common mortal after being defeated in the Battle of Red Cliff. Through his retreat to Hwayondo Island after the Jeokbyeok fire fight, the image of Jojo is completely fooledand ridiculed. Such image expressed in “Jeokbyeokga” shares common ground with other pansori including “Heungboga” and “Simcheongga”. The basic story line is commonly structured as ‘grim tragedy for the first half and humorous satire for the second half’. “Jeokbyeokga” also features the similar structure, with the character, Jojo, being placed in the center of the story. The warlord is often portrayed as a merciless villain, being subject to ridicule and mockery. He, however, is also shaped as a merciful ruler who embraces wounds and resentment of his subordinates. There is no doubt that Jojo is a villain, but his behavior draws out humor inside.
    In a similar vein, the Bosung style pansori of “Jeokbyeokga” attempts to express the heroic image of Jojo to some degree. In addition, changgeuk “Jeokbyeokga”, recently performed by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has successfully depicted Jojo in a grand and sublime manner, reflecting the image shown in the Bosung sori “Jeokbyeokga”. The aesthetics of Bosung sori was established after the 20thcentury, which stands in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traditional pansori. Given that changgeuk “Jeokbyeokga” and creative pansori opera “Jojo, A Hero amid Strife” bring out the heroic side of the character, Jojo, there’s good reason to portray him as a hero since Jojo has various images. However, compared to the aesthetic value achieved in the original pansori “Jeokbyeokga”, there remains much to be debated about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newly created works. At any rate, the value of works should be appreciated in terms of quality, and certainly, Jojo is a character whose characteristics can be interpreted in wide different ang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