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소리에서의 전통미학 패러다임의 변화 (The change of the traditional aesthetic paradigm in Pansor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8.10
36P 미리보기
판소리에서의 전통미학 패러다임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판소리연구 / 46호 / 5 ~ 40페이지
    · 저자명 : 김현주

    초록

    이 글은 판소리의 미학적 성격을 사유체계의 변화라는 패러다임으로 접근함으로써 조선 후기 당시 성리학적 사유체계의 균열과 그 균열의 틈새에 들어온 새로운 사유체계들의 혼융 속에서 발생하고 성장한 판소리의 미학적 사유체계의 성격을 밝히고, 그것이 갖는 민족미학적 위상을 점검하고자 했다.
    조선 후기 미학적 사유체계의 큰 변화는 기를 보는 관점의 변화에서 기인했다고 할 수 있다. 기를 물질로 간주하는 경향에 의해 물적 사유가 강화된 것이 그 하나였다. 조선 후기에 발생하거나 재음미된 실학과 서학, 도교, 그리고 무교 등을 통해 볼 때 조선 후기에는 물적 사유가 강화되면서 실물적인 사고와 실용주의적인 정신이 확산하였으며, 사물의 무차별성에 대한 인식을 통해 만물평등의 정신도 고양되었다. 기 일원론의 연장선 위에서 성 일원론이 등장함으로써 몸적 사유가 강화된 것이 조선 후기에 나타난 또 하나의 변화였다. 양명학이나 동학 등을 통해 볼 때 정신의 우월성과 육체의 열등성이 해체되고, 인간의 성에는 선악이 없다는 인식에 따라 인간의 정감의 세계가 차츰 인정되고 인간의 자연스런 욕망을 긍정하는 관점이 확산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미학적 사유체계의 변화는 그 시대에 등장하고 풍미했던 판소리문학에 투영되지 않을 수 없었다.
    판소리에서 볼 수 있는 물적 사유와 몸적 사유의 공통점은 인간에게 자연스럽고 솔직한 사고방식이라는 점에 있다. 눈에 보이는 사물들을 순수한 시각을 통해 그대로 감각적으로 담아내려고 하는 물적 사유는 가식과 인위성을 배제하고자 하는 의식의 소산이다. 지성적 관념 작용을 통해 꾸미는 과정을 생략하고 인간의 자연스런 감정에 충실하고자 한 것이다. 몸적 사유는 인간의 본능적 욕망에 더욱 솔직하고자 한 것이다. 인간이 일상에서 욕망의 문제에 부딪쳤을 때 몸이 느끼는대로 사고하고 행동하라고 하는 것이 몸적 사유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지성적 사고 작용에 앞서 감성적 사고를 앞세우는 것이기 때문에 가식이나 위선이 없이 본능에 충실하게 된다. 물적 사유와 몸적 사유가 판소리에 두드러지게 기여하는 측면은 일상생활의 자연스러움을 구가하게 해준다는 데 있다. 그런 사유들이 판소리에서는 어떤 관념세계에서 일어나는 게 아니라 철두철미 실제 일상생활에서 부딪치면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판소리의 물적 사유와 몸적 사유의 의의는 일상적인 자연주의를 보편화한 국면에서 찾아진다.
    당대에 부상한 다양한 사유체계들에 기반하고 있는 물적 사유와 몸적 사유는 판소리에 적극적으로 수용되어 판소리의 자연주의의 성격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일상적이고 생활적인 자연주의의 성격은 판소리가 이전 시대보다 더욱 강화시킨 미학적 국면이며, 후대에 다방면으로 유포시킨 미적 감각이다. 근대의 미술사학자들이나 미학가들, 그 중에서도 특히 고유섭의 한국미에 대한 진단을 보면 한국미의 자연주의적 성격은 좀더 층위별로 세분화될 필요가 있어 보이는데, 판소리에서는 그 다양하고 다방면의 자연주의적 성격이 문학과 음악에 걸쳐 밑바닥부터 체화되어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판소리의 자연주의적 미학이 민족 미학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아직은 개진하는 단계에 불과하지만 상당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akes the aesthetic character of Pansori into a paradigm of its changes in the thought system.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new thought systems were mixed with cracks in the Neo-confucianism. In the midst of these currents, it revealed the nature of Pansori’ aesthetic system, which occurred and grew up, and checked its national aesthetic status.
    A major change in the aesthetic thought system in the late Chosun Dynasty can be attributed to the change in the way in which people think about Li(理) and Gi(氣). One is that material thinking has been reinforced by the tendency to regard Gi(氣) as a substance. In the late Chosun Dynasty, physical reasons were strenthened through Sil Hak(實學), Seo Hak(西學), Taoism(道敎), Shamanism(巫敎) etc., and they were reflected in practical thinking and pragmatic settlement. The spirit of equality in all things has also been enhanced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individuality of things. Another change was the increase in physical thinking as mind-monism(性一元論) emerged over the extension of Gi-monism(氣一元論). It was broken up the spirit of superiority and inferiority of the body through Yang Myung Hak(陽明學) and Dong Hak(東學). The recognition that human mind and body is not good and evil has led to the gradual recognition of the human world of affection and the positive view of human natural desires. This change of aesthetic thought system could be reflected in Pansori which appeared and grew up at that tim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material thinking and physical thinking of Pansori are natural and simple ways of thinking for humans. The material thinking of trying to capture things in a natural way, through a pure perspective, is a product of a consciousness to exclude pretense and artificiality. Its goal is to focus on the natural emotions of the human being and to skip the process of decorating with intelligence. Physical thinking is an attempt to be more honest with one’s instinctive desires. It is the essence of physical thinking that when a person encounters a problem of desire, one is asked to think and act the way the body feels. Material thinking and physical thinking contribute remarkably to Pansori, which is meant to promote the natural way of everyday life. Such thinkings do not occur in a certain world of ideology in Pansori, but they occur when they run into real life completely. In this sense, the significance of Pansori’ material thinking and physical thinking is found in a situation where it has generalized daily naturalism.
    Material thinking and physical thinking based on various thought systems that emerged in the period are actively accepted by Pansori, reinforcing the naturalistic characteristics of Pansori. The nature of everyday and mundane naturalism is an aesthetic phase enhanced by Pansori more than ever before and is thought to be an aesthetic sensibility spread widely to future generations. In modern art historians and aesthetic scholars, especially Ko Yu-seop’s diagnosis of Korea’s aesthetic nature, the natural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s aesthetic needs to be broken down further into sections. In Pansori, various and diverse naturalistic characteristics are represented from the bottem up through literature and music. In this respect, the naturalistic aesthetics of Pansori are considerable in terms of its status as national aesthe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