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충청지역 판소리 문화의 역사와 전승양상 (History and Transmission of P'ansori in Ch'ungch'ŏng Province)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08.06
44P 미리보기
충청지역 판소리 문화의 역사와 전승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40호 / 367 ~ 410페이지
    · 저자명 : 신은주

    초록

    판소리는 서민들의 문화 가운데서 생성, 발전하여 민속악의 가장 대표적인 예술음악으로 성장한 장르이다. 판소리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학설이 있으나, 국악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학설은 창우집단 광대소리 기원설이고, 이때의 창우집단은 한강 이남지역의 창우집단을 말한다. 즉, 판소리는 한강 이남지역인 경기남부와 충청남도 및 전라도 지역을 기반으로 발전하였다는 것이다.
    판소리 발생 이후로 20세기 전반까지 충청 지역은 전라도 지역과 마찬가지로 판소리 문화가 성행하였다. 각 시대마다 명창들이 배출되었고, 사설 및 음악적으로 충청 지역 고유의 특성을 보유한 판소리 계보 역시 형성되어 왔다. 그러나 20세기 전반 이후로 오늘날까지 충청 지역의 판소리 문화는 그 이전에 비하여 많이 쇠퇴하였다. 충청 출신 창자들도 전라도 지역에 비하여 그 수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을 뿐 아니라, 지역의 소리제는 소멸되었고 대부분의 창자들이 전라도에 기반을 둔 동편제와 서편제 판소리를 학습하였다. 이는 일정 지역에 국한된 소리 문화가 아닌 전국에서 두루 통용되는 소리로 발전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충청 지역 고유의 특성을 잃고 여타 소리들과 구별이 없어짐으로써 다양했던 판소리 문화가 획일화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충청 지역 판소리는 소멸하였고, 그와 함께 충청 지역의 판소리 문화도 쇠퇴하였다.
    그러나 대표적인 충청 출신의 창자인 故 박동진 명창의 소리를 좀 더 면밀히 살펴보면 여전히 충청 지역의 특성들이 살아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특히 그가 김창진에게서 배운 심청가는 중고제 판소리인 심정순의 소리와 내용 전개 및 사설 면에서 매우 유사점을 갖고 있고, 음악적으로도 일부 통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P'ansori 판소리 is a genre which has been generated and developed among the culture of ordinary people and grown into the most representative art music in terms of a folk music. Although there are several theories regarding the origin of p'ansori, the theory that is most commonly accepted in the Korean musical circles is the theory of origin in an performer's song by ch'angu 倡優 (professional entertainers) group. In this regard, the ch'angu group is groups in the region south of the Han River. Namely, p'ansori has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southern Kyŏnggi province 京畿道, southern Ch'ungch'ŏng province 忠淸道, and Chŏlla province 全羅道, which are the regions south of the Han River.
    Till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since the generation of p'ansori, Ch'ungch'ŏng province had the prevalent p'ansori culture like Chŏlla province. Few of the singers were considered as master singers in each generation. In terms of a narration and music, the lineage of p'ansori, which retained the feature peculiar to Ch'ungch'ŏng region has also been formed. However, from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until today, p'ansori culture of Ch'ungch'ŏng region has been greatly declined in comparison to the former period. The number of singers from Ch'ungch'ŏng region was very few in comparison to singers from Chŏlla province. P'ansori schools in the region were vanished. Most of singers learned p'ansori of Tongp'yŏnje 東便制 (eastern school) and Sŏp'yŏnje 西便制 (western school) based on Chŏlla province. This means that it has been developed into a sound widely and commonly used in the nation-wide, not the sound culture limited in a given region. On the other hand, diverse p'ansori cultures have become standardized with the loss of a unique characteristic in Ch'ungch'ŏng region and no distinction with other p'ansori. In such a course, p'ansori of Ch'ungch'ŏng region was vanished and its culture was also declined.
    Nevertheless, if the song of Park Tong-jin 朴東鎭, the representative master singer from Ch'ungch'ŏng region, is examined in a more detail it is possible to discover the fact that characteristics of Ch'ungch'ŏng region are still alive. In particular, Simch'ŏngga 沈淸歌 (Song of Sim Ch'ŏng) that he learned from Kim Ch'ang-jin 金昌鎭 has a close similarity with Sim Chŏng-sun's 沈正淳 p'ansori, which is p'ansori of Ch'ungch'ŏng region, in terms of the content development and narration and both has a partial connection in terms of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9 오후